Effects of Hairy Vetch and Animal Slurry on Growth and Yield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헤어리베치 녹비 및 액상분뇨 시용이 황기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류종원 (상지대학교 응용식물과학부)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ulching of hairy vetch and pig manure on the growth, yield and crude protein contents of the mulching of hairy vetch and application of animal slurry were treated and investigated in $2000{\sim}2002$. At the first year of cultiv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in plant height, but second year the growth of plants increased and continued over long times as the hairy vetch mulched and fertilized. The length and diameter of plant root were increased in the plot of hairy vetch mulching and the application of animal slurry. At first year of cultivation, no clear difference was found for among the treatments on dry weight and dry matter ratio in roots. At second year of cultivation, they were increased at in the plot of mulching and fertilizer treatment. The appearances of weeds in the field on Astragalus membranaces were much lower on the plots of live-mulching of hairy vetch than those on the control. The yield of root was 255kg highest in the plot of mulching and animal slurry application of 2-year-old roots. The root yield of Astragalus membranaces was increased about $8{\sim}10%$ compared to that with control, due to supply of nutrients. During the cultivation times, organic matters and N contents in soil increased by the mulching of hairy vetch and the application of animal slurry. The concentration of K, Ca concentration in soil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약용작물(藥用作物)중 재배 면적이 많고 소득성(所得性)이 높은 다년생(多年生)의 초본성 작물인 황기의 $1{\sim}2$년생근(年生根) 재배시 헤어리베치 녹비와 액상분뇨 시용이 황기의 생육특주(生育特注) 및 생산성(生産性)과 토양(土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지상부 생육 중 경장(莖長)과 분지수(分枝數)는 헤어리베치 녹비, 액상분뇨 시용구에서 생장량이 컸으며, 생육이 늦게까지 지속되었다. 근장(根長), 근경(根徑), 지근수(支根數) 모두 헤어리베치 녹비와 액상분뇨 시용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건물비율(乾物比率) 재배 1년차 보다 재배 2년차에 증가하였다. 2. 재배 2년차의 건근수양(乾根收量)은 녹비를 피복한 무비구, 화학비료, 액상분뇨 시용구에서 각각 196, 240, 255kg/10a으로서 녹비를 피복하지 않는 무비구, 화학비료, 액상분뇨 시용구에서는 각각 115, 225, 232 kg/10a 보다 증수되었다. 황기 재배시 헤어리베치 녹비 피복은 질소공급에 의한 수량증가와 잡초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3.뿌리의 질소함양(窒素含量)은 재배 1년차에 $1.33{\sim}2.56%$, 재배 2년차에 $1.9{\sim}2.95%$으로 재배 년차가 높을수록 증가(增加)되었다. 질소함량을 조단백질 함량으로 환산하면 재배 2년차에 $20{\sim}23%$로서 콩 단백질 함량의 $45{\sim}65%$ 수준이었다. 4. 시험 후 토양의 총 질소함량은 녹비 액상분뇨 시용구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토양 내 염류집적(鹽類集積)은 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YK, Kim KS, Chang YH, Yu HS (1996).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growth and root yield in Astragalus me nbranaceus Bung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4(4) : 329-332
  2. Kim YK, Kim KS, Chang YH, Yu HS (1996). Studies on planting density and labor-saving in machine sowing for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4(2) : 157-162
  3. Sea JS, Kim KS, Soh HS, Park SU, Son SG (1995) Effect of plant density on growth year in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3(1) : 140-145
  4. 김명석, 정병준, 박균천, 박태동, 김상천. (1997) 토성 및 시비 조건이 황금의 생육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5(1): 70
  5. 김석동, 홍은희, 김용호, 이석하, 박선웅, 이영호, 황영현, 박의호, 김홍식, 유용환, 박래경, 김윤선. (1996) 콩단백질 양질 두부용 신품종 '단백콩'. 한국농업과학논문집 38(1) : 228-232
  6. 농천진흥청. (1989) 약용작물 재배기술개발연구. 농업과 학연구기술개발결과 118-133
  7. 농촌진흥청. (1994) 유기농업에 의한 작물 생산 및 효과. 농업과학기술연구개발결과 110-112
  8. 농촌진흥청(1994) 퇴비연용효과. 농업과학기술연구개발결과 p.118
  9. 농업진흥청. (1994) 시호의 유기질 비료 시용효과. 농업 과학기술연구개발결과 p.176
  10. 소호섭, 서정식, 김기식, 서상명, 모영문, 박승의 (1995) 황기 재배기술 개선시험. 농업과학기술개발결과 p.238-243
  11. 소호섭, 서정식, 김기식, 서상명, 모영문 (1995) 황기적심시기 및 방법시험. 농업과학기술연구개발결과 p.244-245
  12. 정상환, 박노천, 최물술, 강광희 (1989) 남부지방 당년생 황기에 대한 재배기술연구. 약용식물학회지 제3회 발표요지 p.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