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연료전지 모델링 및 공기이용률 제어에 관한 연구

Fuel Cell Modeling and Load Controlling by the Variable Utilization of Airflow

  • 송석흥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 이원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센터) ;
  • 김창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센터) ;
  • 박영필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Song, S.H.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Lee, W.Y. (Fuel Cell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Kim, C.H. (Fuel Cell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Park, Y.P.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발행 : 2003.02.01

초록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제어의 주목표는 연료와 공기의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출력을 연속적이고 안정되게 얻어지도록 공정설비를 제어함에 있다 연료전지의 과부하에 따른 성능저하 및 급격한 유량증가에 따른 양극간의 압력차로 인한 전극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료전지의 제어조건을 고려한 동적모델링이 필요하다. 전극간 압력차이를 허용범위 이하로 유지하며 급격한 부하요구가 발생하더라도 부하에 적합한 이용율 이상으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공기이용률 제어를 이용하였다. 10kW고분자 연료전지(PEMFC)의 전산모사를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제어성능을 수행하여 1초 내의 부하추종성능을 얻을 수 있었으며, 0.01atm내의 양극간 압력차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A mathematical dynamic model of fuel cell was formulated in order to design the control system which will meet the control object. The control objective is set to regulate the airflow in the load change by utilization of airflow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anode and cathode is maintained below a limit range. Simulation result of 10kW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clearly demonstrates that response time need to be less. than 1 seconds for the control requirements. Besides, pressure difference was allowed in pressure range less than 0.01 atm.

키워드

참고문헌

  1. Journal of Power Sources v.73 Modeling fuel cell stack systems J. H. Lee;T. R. Lalk https://doi.org/10.1016/S0378-7753(97)02812-7
  2. Proceedings of the Americal Control Conference Modeling and Control for PEM Fuel Cell Stack System J. T. Pukrushpan;A. G. Stefanopoulou;H. Peng
  3. Fuel Cell Handbook, DOE/FETC-99/1076 J. H. Hirschenhofer
  4.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구성과 응용 연료전지연구센터
  5. 5kW급 고체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개발에 관한 최종보고서 산업자원부
  6. 1st European PEFC Forum proceeding Integration and Operation of 10kW PEMFC System for Hybrid Electric Vehicle T. H. Yang;G. G. Park;W. Y. Lee;C. S.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