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fulness of Breath-hold T2-weighted MR Imaging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Comparison with Delayed Enhancement

심근경색을 가진 환자에서 호흡정지 T2강조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 지연 조영증강 영상과의 비교

  • Choi Sang Il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Sung-Kwo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Ryu Won He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im Cheong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h Joong Haeng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Whal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eong Jin-Woo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Hyung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Kyung Wo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상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강성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유원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임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조중행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이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정진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박재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이경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breath-hold T2-weighted MR imaging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investigated 11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who shown delayed enhancement on MR imaging. Infarcted myocardium on T2-weighted MR imaging was classified as high, iso, and low signal area comparing with normal myocardium. The intensity and transmural extent of infracted myocardium was also analyzed. On the basis of clinical information, the stage of infracted myocardium on T2-weighted MR imaging was assessed. Results : It was observed high signal area in 12 segments of 5 patients, low in 12 segments of 6 patients on T2-weighted MR imaging. The high signal intensity of infarcted myocardium was shown as $175{\pm}9\%$ comparing with that of the normal myocardium, low signal intensity as $73{\pm}5\%\;(p\;<\;0.05)$. In the evaluation of transmural extent, the high signal areas on T2-weighted MR imaging were larger than infarct area on delayed enhancement imaging $(100\%\;vs.49\%{\pm}17\%)$, whereas low signal areas on T2-weighted MR imaging correlated. High signal area was visualized on T2-weighted MR imaging within 11 days, whereas low-signal area was seen after 7 months. Conclusion : Breath-hold T2-weighted MR imaging is useful in the evaluation of stage as well as edema and fibrous scar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목적 : 심근경색을 가진 환자에서 호흡정지 T2강조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심근 생존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자기공명영상이 시행된 환자에서 지연 조영증강을 보였던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지연 조영증강을 보이는 심근부위와 비교하여 T2강 조영상에서 일치하는 부위를 고신호강도, 동등신호강도, 저신호강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정상 심근과 경색 부위의 신호강도 세기 및 통벽성 범위(transmural extent)을 측정하였다. 환자의 임상정보를 토대로 심근경색의 시기와 T2 강조영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T2강조영상에서 5명의 환자의 12분절에서 정상심근에 비하여 경색부위에 고신호강도를 보였으며, 6명의 환자의 12분절에서 저신호강도를 보였다. 경색부위의 고신호강도는 정상심근에 비하여 $175{\pm}9\%$ 이었으며, 저신호강도는 $73{\pm}5\%$ 이었다 (p < 0.05). 통벽성 범위(transmural extent)의 평가에 있어, 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 부위는 지연 조영증강을 보인 부위보다 컸으나 $(100\%\;vs.\;49{\pm}17\%)$, 저신호강도 부위는 일치하였다. T2 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는 심근경색후 11일 이내에 보였고, 저신호강도는 7개월 이후에 보였다. 결론 : 호흡정지 T2 강조영상은 부종 및 섬유화 반흔 범위의 평가와 함께 심근경색의 시기를 예측하는 데에 있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