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한국산 검정콩 색소의 생리활성효과

  • Son Jun-Ho ("Research Team, Korea Advanced Food Research Institute)
  • 손준호 (한국식품연구소 연구팀)
  • Published : 2002.09.10

Abstract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were investigated. Major anthocyanin pigments of Korean black soybean were extracted with $1\%$ HCI for 24hours at $4^{\circ}C$. Inhibitory effect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한국산 검정콩의 종피색소를 1$\%$ HCL 용액으로 4$^{\circ}C$에서 24시간 추출하여0.45$\mu$m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Sep-pak plus $C_{18}$ cartridge를 통과시켜 흡착된 색소성분을 메탄올로 용출시켜 30$^{\circ}C$에서 농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정콩 세 가지 품종의 조색소액의 생리활성 효과를 살펴본 결과 고혈압에 관여하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실험에서는 검정콩 1호, 일품검정콩 및 밀양 95호에서의 $IC_{50}$는 각각 0.22, 0.28, 0.38mg/mL로 나타나 검정콩 1호가 가장 우수하였다. 통풍에 관여하는 xanthine oxidase 저해실험에서의 $IC_{50}$이 각각 0.118, 0.165, 0.163mg/mL로 나타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실험에서와 동일하게 검정콩 1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염증효과를 살펴본 결과 $cPLA_2$를 50$\%$ 저해하는 $IC_{50}$값이 19.7, 10.7, 25.3$\mu$g/mL로 나타났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능을 실험한 결과 각각의 시료 중 밀양 95호가 0.5mg/mL의 농도에서 사람 유래의 결장암 세포주인 HT-29 및 사람과 마우스 유래의 간암 세포주인 HepG2와 Hepa에 대하여 각각 66.0$\%$, 58.2$\%$, 64.4$\%$의 억제능을 보여 시료 중 구성된 검정콩 1호보다는 여러 색소 성분이 공존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여러 가지 가능성을 가지는 색소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