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최적치료 지침을 위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FOR ADHD TREATMENT GUIDELINE

  • 김은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나철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영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Kim, Eun-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
  • Ra, Chul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
  • Lee, Young-Si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 발행 : 2002.12.31

초록

목 적:소아청소년 정신과 질환의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최적치료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 실제 ADHD로 의심되는 환자가 병원을 방문했을 때 임상의들이 현재 (1) 어떠한 진단 평가적 도구를 사용하여 진단적 접근을 하며, (2) 어떠한 치료적 접근을 시행하고 있는지, (3) 현재 시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어떤 모델을 추구하는지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도구를 이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대학병원 및 종합병원 소아정신과 담당 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하였고, 여기에 포함되는 조사내용으로는 진단검사도구, 약물치료, 비약물치료 현황파악이었다. 이 자료를 Texas Algorithm Project(TAP)와 비교 검토하였다. 결 과:(1) 모든 ADHD 환아에게 실시해야 할 기본적인 검사는 지능검사, 문장완성검사, 지속적 집중력검사, 코너씨 설문지였고, (2) 전반적 ADHD 투여 약물은 TAP 지침과 차이가 없었고, 다만 약효가 인정된 aderall, bupropion, guanfacin의 국내이용이 요구된다고 하였으며, (3) 틱 장애가 동반된 경우는 임상의들이 정신자극제 사용을 자제하는 경향을 보여 TAP 지침과 분명한 차이를 보였고, (4) 파탄적 행동장애가 동반된경우 임상의들은 다른 약물로 교체하기보다는 MPH 투여에 다른 약물을 추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 과반수 이상의 임상의가 꼭 실시하여야 한다고 보고한 치료로는, 개별적 부모상담, 부모교실, 개인별 행동인지 치료였다. 결 론: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여러 제한점들을 보완하고 또한 본 연구에서 제기된 논쟁점을 위주로 하여서, 한국적 실정에 맞는 ADHD 최적치료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와 더불어 전문가들의 합의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s:In order to treatment guideline of ADHD, present clinical practise of child psychiatrists and their opinion of optimal intervention were evaluated. Methods:Structured questionnaire items about diagnostic workup, drug choice of 5 different situ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co-morbid disorders, and non - pharmacological treatment were applied to 32 child psychiatrists working at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 we compared the data with Texas Algorithm Project guideline. Results:(1) Intelligence Test, Sentence Completion Test, sustained attention test, and Conner's questionnaire were the basic routine test that must be performed. (2) Main trend of medication in this study was not different from TAP guideline. (3) In case of co-morbid tic disorder, first recommending drug is still psychostimulant in the TAP guideline. But in this study initial psychostimulant prescription was not main trend. (4) In case of MPH non-response co-morbid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MPH medication combined with other drug were more common than switching to other drug as suggested the TAP guidelines. (5) In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most child psychiatrists reported the importance of parent management. Conclusion:There were some difference in medication trend in this study compared with TAP guideline. Further study and conference are needed for experts consensus in Ko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