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llium-201 SPECT in the Evaluation of Postoperative Tumor Recurrence on the Chest Wall in Lung Cancer

폐암 수술 후 흉벽의 종양 재발 검출에 있어 Tl-201 폐 SPECT의 유용성

  • Ryu, Young-Hoon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yung-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n, Chul-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e-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ik, Hyo-Chae (Department of Chest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Doo-Yun (Department of Chest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Kyung-Young (Department of Chest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une, Min-Jin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Sang-Jung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oon, Sung-Wook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ang-Jin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ong-Doo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유영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김형중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안철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세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백효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이두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정경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윤미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박상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문성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김상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이종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1.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 Tl-201 SPECT for the detection of the postoperative tumor recurrence on chest wall. Methods: 28 patients including 14 with suspected recurrence of tumor in the chest wall on postoperative chest cr scan, 10 with postoperative pleural effusion which proved benign on radiologic, cytologic and laboratory findings, and 4 with chronic tuberculous empyema as control group were included. All patients underwent SPECT 30 minutes and 4 hour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111MBq of Tl-201. Tumor uptake was visually graded by two interpreters and scored as follows : no uptake:0, similar to contralateral lung: 1, higher than contralateral lung but less than heart:2 and similar to heart:3. Results : Markedly increased (grade 3 or 2) Tl-201 uptake was noted in patients with suspected recurrence of tumor in the chest wall (13/14) whereas no (8/10) or minimal (2/10) uptake along the collapsed lung in patients with postoperative benign pleural effusion. In two patients, Tl-201 SPECT revealed additional recurrent tumor mass lesions that were barely perceptible on chest cr scan. Patients with chronic tuberculous empyema showed relatively smoothly marginated increased uptake along the chest wall 4/4), but lesser in degree (grade 1 or 2), when compared to recurrent tumor uptake. Conclusion : Tl-201 lung SPECT seems to be useful to detect postoperative tumor recurrence on chest wall and to differentiate malignant from benign pleural effusion and ma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morphologic data obtained by CT.

Background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암 수술 후 흉벽의 종양 재발 검출에 있어 Tl-201 폐 SPECT의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Methods : 총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14명의 수술 후 흉벽에의 폐암의 재발이 추적 CT 검사에서 의심이 되었던 환자와 10명의 방사선학적, 이학적소견과 흉수의 세포검사모두에서 양성으로 판명된 수술 후 흉막 삼출을 보이는 환자군과 4명의 만성 결핵성 농흉 환자군을 대조군으로 포함하였다. 모든 환자군에서 111 MBq의 Tl-201을 정맥 주사 후 30분과 4시간후에 전신 평면 영상과 흉곽에 대한 SPECT를 시행하였다. 종양의 Tl-201섭취는 2명의 판독자에 의하여 다음의 4단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no uptake:0, similar to contralateral lung:1, higher than contralateral lung but less than heart:2 and similar to heart:3. Results : 수술 후 흉벽에의 폐암의 재발이 추적 CT 검사에서 의심이 되었던 환자 14명 중 13명에서 Grade 3또는 2의 강하게 증가된 Tl-201의 섭취를 보였다. 그리고 14명중 2명에서는 CT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다른 부위의 종양 재발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에, 양성 수술 후 흉막 삼출군에서는 섭취가 없거나(8/10) 또는 허탈된 폐에 미미한 (grade 1) Tl-201의 섭취만을 보였다. 만성 결핵성 농흉군에서는 비교적 균일하게 경계를 보이는 미약한 정도의 (grade 1 or 2) Tl-201의 섭취를 보였다. Conclusion : Tl-201 폐 SPECT는 폐암 수술 후 흉벽의 종양 재발 검출에 있어 CT에서 제공하는 형태학적인 정보이외의 종양 재발에 관한 기능적 정보를 더 제공하며, PET이 없는 기관에서 사용 가능한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