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Health Promotion 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used Day Care Service i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Post

보건진료소의 주간보호실 이용노인의 특성과 건강증진 정도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This study was taken to provide data for the approaches of day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post through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rate, characteristics and health promotion that the elderly used the day care services. Data collection used three records that case management in take sheet, dementia check list and ADL record during the one year, from June 21, 2001 to June 30, 2002. During the one year, the elderly used day care services were 119 persons that 26.9% of the total elderly population, 1.5 time per used the elderly, and female elderly(88.9%) more used than male elderly. 39.5%of the elderly user have chronic diseases that was arthritis and hypertension and etc. 41.2% of the elderly users have dementia state that score was $17.39{\pm}7.17$(handicapped elderly), $18.43{\pm}7.36$(healthy elderly),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PADL score was $2.18{\pm}0.55$(handicapped elderly), $2.78{\pm}0.30$(healthy elderly), IADL score was $1.78{\pm}0.51$(handicapped elderly), $2.47{\pm}0.60$(healthy elderly)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e year later, PADL and IADL of the elderly users were improv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The elderly users were wanted rehabilitation service(22.2%), talking service(20.6%), bath service(12.7%), food service(9.5%) of day care services in CHP's post. We are recommended that day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CHP's post was very useful and contributed to promote ADL functions.

공공기관에서도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제공을 확대한다는 정책대안의 관점에서 보건진료소에서 주간보호실을 2001년 6월 21일부터 다음해 6월 30일까지 1년동안 이용한 노인 119명을 대상으로 이용노인의 일반적 특성, 건강특성 및 프로그램의 실태와 더불어 이용의 효율성을 분석, 검증하고자 방문간호대장, 치매체크 리스트지 및 일상생활동작능력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보건진료소 주간보호실을 이용노인은 119명으로 관내 노인인구의 26.9%, 약 1/4이상이었으며, 이용횟수는 1회-10회까지 범위로 1인당 1.5회 이용으로 나타났는데, 성별로는 여자노인의 이용이 88.9%로 남자노인보다 훨씬 많았다. 일반노인집단은 94명, 장애 노인집단은 25명으로 이용자의 각각 79.0%, 21.0%를 차지하였다. 일상생활동작은 1점(완전의존)에서 4점(자립)의 범위로 기록조사한 결과, 장애노인집단이 $2.18{\pm}0.55$점, 일반노인집단이 $2.78{\pm}0.30$점이었고, 수단적 일상생활동작은 장애노인집단이 $1.78{\pm}0.51$점, 일반노인집단이 $2.47{\pm}0.6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이용노인의 39.5%였는데, 관절염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고혈압환자의 순이었다. 사망률은 장애노인집단에서 16.0%로 일반노인집단의 2.1%보다 훨씬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p<0.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점수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20점 이상의 치매의심노인은 41.2%이었고, 치매점수는 장애노인집단이 $17.39{\pm}7.17$점, 일반노인집단이 $18.43{\pm}7.36$점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들에게 일상생황능력을 높이고 삶의 질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신체적 일상생활동작능력은 장애노인집단이 $2.58{\pm}0.32$점, 일반노인집단이 $2.70{\pm}0.35$점으로 점수가 변경되었고, 수단적 일상생활 동작은 장애노인집단이 $2.06{\pm}0.48$점, 일반노인집단이 $2.32{\pm}0.59$점으로 장애노인집단에서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필요한 서비스는 물리치료(22.2%), 말벗서비스(20.6%), 목욕서비스(12.7%), 부엌일(9.5%) 등으로 나타났다. 주간보호실 이용노인들의 건강상태, ADL과 치매정도를 보다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개개인에 알맞은 접근 가능하고 비용 효과적인 주간보호프로그램의 개발과 더불어 재가노인보건의료복지서비스의 지침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