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tudy of Renal Cystic Diseases in Children

소아의 낭포성 신질환에 대한 임상적 고찰

  • Kim, Ja H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You J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Lee, Byeong Seon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o, Tae Sung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Park, Young Seo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김자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유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병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고태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영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1.08.25
  • Accepted : 2001.10.25
  • Published : 2002.02.15

Abstract

Purpose : Renal cystic diseases comprise a mixed group of heritable, developmental and acquired disorders. Recently the use of imaging modalities such as ultrasonography and radionuclide scanning has increased the detection rate of renal cystic diseases. We studied to review th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f renal cystic diseases in children.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95 children with renal cystic disease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from October 1989 to June 2001. Results : In 95 patients, there were 55 cases(58.0%) with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MCDK), 19 cases(20.0%) with simple renal cysts, 13 cases(13.7%) with hereditary polycystic kidney diseases( 7 with autosomal recessive type, 5 with autosomal dominant type, 1 with undetermined), 6 cases(6.3%) with renal cysts in tuberous sclerosis and 1 case(1.0%) with medullary cystic disease. All MCDK patients had no renal dysfunction and hypertens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ree out of 13 with polycystic kidney diseases had progressed to end-stage renal disease during the follow-up period. One case with a simple cyst underwent laparoscopic malsupialization for decompression. Conclusion : Renal cystic diseases have divers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variable prognosis. We emphasize that routine follow-up should be performed to prevent and to detect early treatable complication in renal cystic diseases. Therefore, their natural history and treatment need further investigation and long term follow-up is required.

목 적 : 낭포성 신질환은 다양한 원인, 증상, 예후를 나타내며 최근 들어 영상 진단의 발전으로 조기 진단이 가능해지면서 병인, 유전, 자연 경과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낭포성 신질환 환아들을 대상으로 그 빈도, 임상양상, 동반기형, 치료 및 예후 등을 분석하여 향후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9년 10월부터 2001년 6월까지 15세 이하의 낭포성 신질환 환아 95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산전 초음파로 발견된 경우 출생 후 초음파를 다시 시행하여 진단하였으며 질환에 따라 DMSA, DTPA, MAG-3 신스캔,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 전산화 단층 촬영, 자기 공명 영상 등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 대상 환아는 총 95례였고, 추적 관찰 기간은 1개월에서 8년 4개월이었다. 다낭포성 신이형성증이 55례(58.5%)로 가장 많았고, 단순 낭포신은 19례(20.2%)였으며, 그중 단일 신낭포가 15례(13.8%). 다낭포가 4례(4.2%)였다. 유전성 다낭포신은 13례(13.7%)였고, 그중 상염색체 열성 다낭포신이 7례(7.4%), 상염색체 우성 다낭포신이 5례(5.3%)였다. 수질 낭성 질환은 1례(1.0%)였고, 결절성 경화증과 동반된 신낭포는 6례(6.3%)였다. 2) 진단은 다낭포성 신이형성증의 경우 총 55례 중에서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경우가 49례(89.0%)로 가장 많았으며, 단순 신낭포는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방문하여 검사 도중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18례(94.7%)로 가장 많았다. 유전성 다낭포신 환아는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경우가 5례(38.5%), 복부 종괴에 대한 검사로 발견한 경우가 3례(23.0%), 복통이나 야뇨증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검사 중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2례(15.4%), 혈뇨에 대한 검사 중 발견한 경우가 2례(15.4%), 가족력이 있어 발견된 1례(7.7%)가 있었다. 결절성 경화증 환아의 경우는 동반 질환 유무를 알기 위해 시행한 복부 초음파에서 신낭포가 발견되었다. 3) 동반된 요로계 기형 및 질환은 다낭포성 신이형성증 환아들의 경우 반대측 신장의 방광 요관 역류가 9례(16%)로 가장 많았으며 비뇨기계 이외의 동반기형으로는 심장 기형이 5례로 가장 흔했다. 상염색체 열성 다낭포신의 경우 방광 요관 역류, 췌장 낭포가 동반된 경우가 각각 1례가 있었고, 단순 신낭포는 2례에서 난소 낭포가 관찰되었다. 4) 임상 경과로 다낭포성 신이형성증의 경우는 추적 관찰 기간 중에 모두 합병증은 없었다. 유전성 다낭포신 질환 13례 중 상염색체 우성 다낭포신 환아 2례가 각각 6세, 8세에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였고, 상염색체 열성 다낭포신 환아 1례는 생후 5개월에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였다. 단순 신낭포의 경우 요관 신우 연결 부위 폐쇄 및 신우 압박이 관찰된 1례에서 복강경을 통한 malsupialization을 시행하였고, 1례의 수질 낭성 질환 환아는 진단 당시 이미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되어 있어 신이식을 받았다. 결 론 : 낭포성 신질환은 여러 가지 임상 및 병리적인 소견을 보이며, 무증상으로 지내다가 우연히 발견되어 치료가 필요 없이 경과 관찰만 필요한 질환부터 신생아기부터 신부전으로 진행되거나, 비뇨기계 뿐만 아니라 비뇨기계 이외의 기형도 동반하는 질환까지 그 양상이 다양하다. 그러므로, 각 질환 별로 발생할 수 있는 고혈압, 신부전, 감염 등의 합병증을 적절히 치료하기 위해서는 조기 발견, 정확한 진단,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