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wha Infant Develomental Screening Test

이화 영아 발달 선별 검사(Ewha Infant Development Screening Test)에 대한 연구

  • Lee, Ke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이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1.12.21
  • Accepted : 2002.03.04
  • Published : 2002.06.15

Abstract

Purpose : 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the health care of children. Screening of development is aimed at identifying infants who may need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s. Methods : A new test, the Ewha Infant Development Screening Test(EDST) has been created to screen the development of infants, 0-4 years of age. EDST was constructed so that results can be calculated into developmental ages and developmental quotients. The test consists of three sectors, e.g. language, social-adaptive and motor, and of 158 test items. A total of 104 infants, aged from one month to four years, including healthy infants as well as 10 with chief complaints of developmental delay, who visited the pediatric clinic of Ewha Womans University Dongdaemun Hospital, from June, 25 to November 30, 2001, were given the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as a base test and EDST. Results : The result showed the appropriate cut-off of EDST was 90 with bett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ompared to cut-offs of 85 or 80. Conclusion : Further study with a large number of infants in the future is needed to make EDST more reliable and accurate.

대 상: 영아의 발달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하기 위하여는 발달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영아뿐 아니라 모든 영아의 정기 검진에서 발달 선별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발달 선별에 사용할 수 있고 결과를 점수화 할 수 있는 새로운 발달 선별 검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개월에서 4세의 아동에 사용할 수 있는 이화 영아 발달 선별 검사를 개발하고 이를 베일리 영아 발달 검사를 기본검사로 하여 동시에 104명의 영아에 시행하였다. 104명 중 건강한 아동은 94명, 발달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아동은 10명이였다. 이화 발달 선별 검사의 가상 합격선을 80, 85, 90점으로 하여 각각의 점수에서 민감도와 특이도, 예측가를 계산하였다. 결 과 : 이화 영아 발달 선별 검사의 합격선을 90점으로 하는 경우 민감도 83.3%, 특이도 93.5%, 예측가 62.5%로 비교적 안정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 론 : 발달 선별 검사의 결과를 점수화 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발달을 진단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선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면 이러한 위험을 피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더 많은 수의 아동을 상대로 검사를 시행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