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2 Diabetes Mellitus in Children

소아연령에서의 2형 당뇨병의 임상적 고찰

  • Park, Jee M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Yoo, Eun Gy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Duk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박지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유은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덕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1.07.02
  • Accepted : 2001.09.05
  • Published : 2002.05.15

Abstract

Purpose :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children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recently, which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obesity. W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children and also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Methods : We investigated 25 children diagnosed as type 2 diabetes mellitus between March 1990 and December 2000. The analysis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with medical records based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otory findings. Results : Incidence of type 1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in children has been increasing since 1990. We demonstrated an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children from 5.3% in 1990 to 21.0% in 2000. Sixty eight percent of patients(17/25) were classified as obese group. Initial symptoms at first visit were polyuria, polydipsia and polyphagia 48%(12/25), asymptomatic glycosuria 40% (10/25), weight loss 8%(2/25) and obesity 4%(1/25).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12.9{\pm}1.8$ years. 64%(16/25) of patients had positive family history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utoanti-bodies were positive in 18.1%(4/22) of patients. Twenty eight percent (7/25) of patients had an associated disease and two patients had fatty liver in association with obesity. Treatment consisted of diet, exercise, education and oral hypoglycemic agents. Three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sulin as well as oral hypoglycemic agents because of poor blood glucose control. Long-term diabetic complications occurred in 4 patients. Intrauterine growth retardtion was found in 34.6%(9/25); 88.9% (8/9) of these patients were non-obese group. Conclusion : The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children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obesity. The non-obese group of patients might be associated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목 적 : 최근에 비만증의 증가와 함께 소아에서 2형 당뇨병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우리나라 소아 연령에서 2형 당뇨병의 발생빈도 및 그 특성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자궁내 성장지연과의 관계도 분석하였다. 방 법 : 1990년 3월에서 2000년 12월까지 연세의료원 소아과에서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소아 2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소아에서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은 1990년 이후에 모두 증가하였으며 소아에서 발병한 당뇨병 중 2형이 차지하는 비율은 연도별로 볼 때 1990년에 5.3%(1/19)였던 것이 2000년에 21.0%(8/38)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총 25명 중 비만군이 68%(17/25)였고 비비만군이 32%(8/25)였다. 진단 당시의 주증상은 다음, 다뇨, 다식 증상이 48%(12/25), 학교 신체 검사에서 무증상 당뇨로 발견된 경우가 40%(10/25)였고 그외 체중 감소, 비만으로 우연히 발견된 경우였다. 진단당시 평균 연령은 $12.9{\pm}1.8$세였다. 25명 중 64%(16/25)에서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었다. 자가항체 검사는 18.1%(4/22)에서 양성이었다. 총 7례에서 동반 질환이 있었으며 비만과 관련하여 지방간 등이 있었다. 치료는 모두 진단 후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였고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았던 3명에서 인슐린을 추가하였다. 장기 합병증은 4명에서 발생하였다. 자궁내 성장지연은 9명에서 있었고 이들 중 8명은 비 비만군 당뇨병이었다. 결 론 : 최근 비만증과 관련되어 소아에서 2형 당뇨병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비비만군 당뇨병 환아에서는 자궁내 성장 지연이 상관관계가 있으리라고 생각되며 소아에서 2형 당뇨병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예방 및 치료책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