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Rifampicin Instillation Therapy for Suppurative Bacillus Calmette-Guérin Lymphadenitis

BCG 접종에 의한 화농성 림프절염의 Rifampicin 국소 주입 요법

  • Kim, Mee J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Kangnam General Hospital Public Co.) ;
  • Jang, Seong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Kangnam General Hospital Public Co.) ;
  • Ahn, Young Min (Department of Pediatrics, Kangnam General Hospital Public Co.) ;
  • Kang, Mi Kyoung (The Korean National Tuberculosis Association) ;
  • Kim, Sang Jae (The Korean National Tuberculosis Association)
  • 김미정 (지방공사 강남병원 소아과) ;
  • 장성희 (지방공사 강남병원 소아과) ;
  • 안영민 (지방공사 강남병원 소아과) ;
  • 강미경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
  • 김상재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 Received : 2001.10.30
  • Accepted : 2001.11.16
  • Published : 2002.04.15

Abstract

Purpose : Bacillus Calmette-$Gu\acute{e}rin$(BCG) lymphaden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of BCG vaccination. The involved lymph nodes usually subside spontaneously, but they may become enlarged and form an abscess. Treatment of these infants is controversial. The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s local isoniazid or rifampicin instillation for patients with suppurative BCG lymphadenitis. Methods : The study group comprised 37 patients who presented with BCG lymphadenitis over the last three years. BCG lymphadenitis was diagnosed if the affected patient developed an ipsilateral axillary or supraclavicular lymphadenitis, with no other identifiable cause for the lymphadenitis. We used rifampicin instill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suppurative BCG lymphadenitis. Results : Lymphadenitis regressed spontaneously in three patients. Thirty four patients showed a progression to abscess formation. Among 34 patients with suppurative lymphadenitis, drainage developed spontaneously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 nine patients before therapy. Twenty five patients received needle aspiration and local rifampicin instillation therapy. Reaspiration was performed in seven patients. One of these patients still has large lymph nodes after the second attempt. Conclusion : Needle aspiration and local rifampicin instillation therapy into the node is a safe and effective form of treatment for suppurative BCG lymphadenitis.

목 적 : BCG접종 후에 소속 림프절에 발생하는 화농성 림프절염은 비교적 심각한 부작용 중 가장 흔하다. 대부분 치료를 하지 않더라도 결국은 퇴행되지만, 보통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배농이 지속되어 매우 불편하고, 상당한 예에서 궤양으로 남게된다.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은 isoniazid 또는 rifampicin 국소 주입을 권장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BCG접종 후에 발생한 화농성 림프절염을 rifampicin 국소 주입으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 최근 3년간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및 본원에서 BCG에 의한 림프절염으로 진단된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BCG 림프절염은 동측의 액와부 또는 쇄골상부에 생긴 림프절염으로, BCG 접종 외에는 림프절염의 다른 원인이 없을 때 진단하였다. 화농하지 않고 림프절이 커져 있는 경우에는 자연 소실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경과를 관찰하다가, 화농하면 자연적으로 파열되기 전에 주사기로 림프절을 흡인하고 rifampicin을 국소 주입하였다. 결 과 : BCG에 의한 림프절염 환아 37명을 경험하였다. 1) 림프절염의 양상 : 림프절염은 BCG를 접종한 후 대부분 4개월 이내에 발생하였다. 발생부위는 대부분 좌측 액와부였고, 쇄골상부에 생긴 예도 있었다. 크기는 대부분 2-3 cm였고, 5 cm 이상인 경우도 있었다. 2) 림프절염의 치료 : 37명 중 3명은 림프절염이 화농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소실되거나 크기가 감소하였다. 화농하면 rifampicin을 주입하려고 경과를 관찰하다가 9명은 시술 전에 자연적으로 터져서 배농되어 드레싱만으로 치유되었다. 25명은 림프절염이 화농되어 주사기로 흡인한 후에 rifampicin을 국소로 주입하였다. 18명은 한번 시술해서 치유가 되었다. 7명에서는 한번 시술한 후에 다시 유동성이 생겨서 한번 더 시술하였다. 이중 1명은 두번 시술하였으나 크기가 더이상 감소하지 않아서 외과적 절제술을 고려하고 있다. Rifampicin 국소 주입 후 많은 경우에서 몇 일 이내에 배농이 없어지고, 그 이후 크기가 감소하였다. 림프절이 크면 일부에서 배농이 1-2개월 지속되었다. 결 론 : BCG에 의한 림프절염 중 일부는 자연적으로 소실된다. 화농성 림프절염으로 이행되면 침흡인 후에 rifampicin을 국소 주입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즉 자연적 배농을 방지하고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림프절염이 치유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