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f Children Who Showed Benign Hemophagocytic Histiocytes in Bone Marrow Examination

골수 검사상 양성 혈구 탐식 조직구가 나타난 소아의 임상적 고찰

  • Park, Jin A (Department of Pediatrics,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Joo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Ji Min (Department of Pediatrics,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Seat Byoul (Department of Pediatrics,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Heung Sik (Department of Pediatrics,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Jeon, Dong Seok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박진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주영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지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샛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흥식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전동석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 Received : 2002.04.15
  • Accepted : 2002.06.10
  • Published : 2002.08.15

Abstract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 method to diagnose and treat children who showed benign hemophagocytic histiocytes in bone marrow examination. Methods : 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thirty patients retrospectively who showed benign hemophagocytic histiocytes in bone marrow examination from January 1995 to November 2001 at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Bone marrow histiocytes were classified into a few, some, and many according to the number of histiocytes comparing with the white cells. Results : The age of thirty patients ranged from two months to 15 years. The median age was 5.6 years with male predominance(2.3 : 1). The most frequent clinical manifestation was fever; others were respiratory symptom, hepatosplenomegaly, lymphadenopathy and skin rash(in order of frequency). Common laboratory findings were leukopenia, thrombocytopenia, anemia and abnormal liver function test. Infection was present in 30 patients; causative organisms were documented in 15 patients, and bacterial infection was more common. Epstein Barr virus was the cause of infection in four patients. Bone marrow examination showed a few(20.0%), some(75.0%) and many(30.0%) hemophagocytic histiocytes. Combination immunochemotherapy including immunoglobulin, steroids and cyclosporine were helpful in 22 out of 30 patients. The mortality rate was high in young patients who showed some to many hemophagocytic histiocytes. Conclusion : Bone marrow examinations and early detection of histiocytes will be helpful in children who have fever, hepatosplenomegaly and abnormal liver function test. Immunochemotherapy were helpful and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needed for the det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e marrow findings and prognosis.

목 적: 혈구 탐식 조직구 증식증은 양성 질환으로는 드물게 치명율이 높은 질환으로, 발열, 간비장 종대, 림프절 종대 등의 증상이 있고, 검사 소견에서 양성의 혈구 탐식 조직구가 나타난 경우 진단되나 치료가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 골수 검사상 양성의 혈구 탐식조직구가 나타난 예들의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여 진단 및 치료 방향과 예후 판정에 도움이 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1년 11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에서 골수 검사상 양성의 혈구 탐식 조직구가 나타난 환아 30례를 대상으로, 특징적 임상 증상, 진찰 소견, 혈액 검사 소견, 골수 검사 소견, 치료 방법과 예후에 대하여 임상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골수 도말에서 혈구 탐식 조직구의 수에 따라 a few, some, many로 나누어 환아의 예후와 비교하였다. 결 과 : 골수 검사상 양성 혈구 탐식 조직구를 보인 예들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연령 분포는 2개월에서 15세로, 평균 연령은 5.6세였고, 남녀비는 2.3 : 1로 남아가 많았다. 입원 당시 증상으로는 발열이 가장 많았으며, 호흡기 증상, 위장관 증상 등의 순이었고, 평균 발열 기간은 19.5일이었으며, 진찰 소견은 간비종대, 피부 발진, 림프절 비대 순으로 많았다. 혈액 검사 소견상 백혈구 감소증이 23례(76.7%)로 가장 많았고, 혈소판 감소증이 16례(53.3%), 빈혈이 15례(50.0%), 간기능 검사 이상이 15례(50.0%)로 나타났다. 기저 질환으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악성 림프종 등 면역 저하된 상태가 5례였고, 건강했던 경우가 25례 였으며, 관련 질환의 종류로는 패혈증, 폐렴, 전염성 단핵구증 등의 순이었고, 원인으로는 세균이 많았으며, 바이러스로는 EBV가 4례였고, candida가 1례였다. 골수 도말 소견상 세포 충실도가 정상이 25례(83.3%)였고, 5례(16.7%)에서 감소되어 있었으며, 혈구 탐식 조직구의 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some이 15례(50.0%), many가 9례(30.0%), a few가 6례(20.0%)이었다. 치료는 보존 요법, 항생제와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면역 글로불린, steroid, etoposide, cyclosporine 등의 병용 요법을 시행하였다. 사망율은 30명 중 8명으로 26.7%였으며, 연령이 낮은 군과 혈구 탐식 조직구 수가 some 이상인 경우에 사망률이 높았다. 결 론 : 고열, 간비종대, 범혈구 감소증과 간기능 이상 등의 소견을 보이는 환아에서 조기에 골수 검사를 시행하여 혈구 탐식 조직구가 보일 때, 원인 치료 및 대증 요법과 함께 면역 화학 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예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골수 소견과 예후와의 관계는 지속적인 연구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