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wo Rapid Antigen Detection Tests for Diagnosis of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otonsillitis

A군 연쇄구균성 인두편도염 진단을 위한 두 종류 신속항원검사법의 비교

  • Song, Seung Kyu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 Hong, Mi Ae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 Oh, Kyung Chang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 Ahn, Seung In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 Tae, Mi Hyon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 Shin, Hye 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 Chang, Jin Keun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 Cha, Sung 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Received : 2002.04.18
  • Accepted : 2002.05.28
  • Published : 2002.08.15

Abstract

Purpose : Recently, a number of rapid antigen detection tests have been available to diagnose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otonsill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consistency of the two rapid antigen detection tests. Methods :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our clinic from November 2001 to February 2002, 61 patients who had clinical findings of pharyngeal erythema or edema, pharyngeal exudates and soft palatine petechiae were enrolled in our study. A total of 61 patients were tested with rapid antigen detection tests and throat culture. BD $LINK2^{TM}$ Strep A(Becton, Dickinson & Company, U.S.A.) and $QuickVue^{(R)}$ $In-Line^{TM}$(Quidel Corporation, U.S.A.) were selected for rapid antigen detection tests. Results : Of the 61 patients tested, 22 patients were confirmed as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otonsillitis by throat culture. The BD $LINK2^{TM}$ Strep A had a sensitivity of 81.8% and a specificity 89.7%.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81.8% and 89.7%, respectively. The $QuickVue^{(R)}$ $In-Line^{TM}$ had a sensitivity of 77.3% and a specificity of 100%.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100% and 88.6%, respectively. The kappa values of BD $LINK2^{TM}$ Strep A and $QuickVue^{(R)}$ $In-Line^{TM}$ were 0.72 and 0.81, respectively. Conclusion : In addition to high sensitivity, specificity and consistency, both kits are easy to use and simple to interpret, and therefore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with backup throat culture for diagnosis of acute pharyngotonsillitis.

목 적: A군 베타용혈성 연쇄구균은 급성 인두편도염의 원인이 되는 세균으로 류마티스성 열 및 사구체 신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해야 하는 질병이다. A군 연쇄구균성 인두편도염은 증상만으로는 진단하기 어렵고, 가장 좋은 검사방법인 인두배양검사는 시간을 요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비교적 검사과정이 간단한 신속항원검사법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두 종류의 신속항원검사법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알아보고, 일치도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1년 11월부터 2002년 2월까지 한일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 중 인두의 발적과 부종, 인두의 삼출물, 인두의 점상 출혈이 있는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인두배양검사와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하였다. 신속항원검사법은 BD $LINK2^{TM}$ Strep A(Becton, Dickinson & Company, U.S.A.)와 $QuickVue^{(R)}$ $In-LINK^{TM}$(Quidel Corporation, U.S.A.)를 사용하였다. 결 과 : 1) 61례의 검체 중 22례(36.1%)에서 인두배양검사상 A군 베타용혈성 연쇄구균이 배양되었다. 2) 집락수 1+는 2례(9.1%), 집락수 2+는 1례(4.5%), 집락수 3+는 10례(45.5%), 집락수 4+는 9례(40.9 %)로 배양되었다. 3) 인두배양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온 환자 중 3세에서 5세 사이가 14례(63.6%)로 본 연구에서 A군 연쇄구균성 인두편도염의 가장 흔한 연령층이었다. 4) 인두배양검사상 양성으로 나온 환자의 임상 증상 및 징후는 발열과 림프절 종대가 각각 18례(81.8%)에서 나타났고, 인두통 16례(72.7%), 구토 11례(50.0%), 성홍열양 피부발진 8례(36.4%), 두통 7례(31.8%), 복통 7례(31.8%), 딸기모양의 혀는 6례(27.7%)에서 관찰되었다. 5) 민감도는 BD $LINK2^{TM}$ Strep A가 81.8%(18례/22례), $QuickVue^{(R)}$ $In-LINK^{TM}$이 77.3%(17례/22례)이었다. 특이도는 BD $LINK2^{TM}$ Strep A가 89.7%(35례/39례), $QuickVue^{(R)}$ $In-LINK^{TM}$이 100%(39례/39례)이었다. 6) 양성 예측도는 BD $LINK2^{TM}$ Strep A가 81.8%, $QuickVue^{(R)}$ $In-Line^{TM}$이 100%이었다. 음성 예측도는 BD $LINK2^{TM}$ Strep A가 89.7%, $QuickVue^{(R)}$ In-Line$^{TM}$이 88.6%이었다. 7) 인두배양검사에 대한 BD $LINK2^{TM}$ Strep A의 k값은 0.72로 일치도 좋음을 보였고, $QuickVue^{(R)}$ $In-Line^{TM}$의 k값은 0.81로 일치도 아주 좋음을 나타냈다. 결 론 : 신속항원검사법인 BD $LINK2^{TM}$ Strep A와 $QuickVue^{(R)}$ $In-LINK^{TM}$은 민감도와 특이도, 일치도가 높을 뿐 아니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과를 알 수 있어서 인두배양검사와 병행하여 급성 인두편도염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