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ological Analysis and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Group A Streptococci in Seoul(1998-2000)

3년간(1998-2000년) A군 연구균 감염의 혈청학적 형분류와 역학적 특징

  • Choi, Sun-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hee University) ;
  • Kim, Yun-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hee University) ;
  • Cha, Sung-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hee University) ;
  • Kim, Ki-Sang (Department of Molecular Bacteriology,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
  • Lee, Young-Hee (Department of Molecular Bacteriology,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 최선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연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차성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기상 (국립보건원 분자세균과) ;
  • 이영희 (국립보건원 분자세균과)
  • Received : 2002.06.26
  • Accepted : 2002.08.23
  • Published : 2002.11.15

Abstract

Purpose : Group A streptococci have a cell wall which consists of M protein and T protein. T protein is known to be helpful in the understanding of the epidemiology of group A streptococci. To study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we serotyped T protein of group A streptococci obtained from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s, or who visited OPD in five districts of Seoul the during last three years. Methods : Group A streptococci were obtained in five districts in north, northeast, central, northwest and south Seoul from 1998 through 2000. All isolated group A streptococci were serotyped with T protein antisera(Institute of Sera and Vaccine, Prague, Czech Republic). Results : In 1998, analysis of obtained total number of 92 strains revealed that T12, T4, and NT acounted for 72.2%. Among seven cases of scarlet fever, T12 was isolated in four cases and T4 was found in three cases. Two cases of tonsilar abscess produced T8 and NT. One case of cervical lymphadenitis showed T12. In 1999, 41 cases were studied showing that T12, T4, and T1 contributed 68%. Among five cases of scarlet fever, T12 and T4 make up three case. There were two cases of pneumonia(T4 and T1) and one case of cervical lymphadenitis(T8/25). In 2000, the study was performed in four districts except the central area. Among 83 isolates, T12, T4 and T1 accounted for 63.9%. There were three cases of scarlet fever(T12, T4, T5), one case of tonsillar abscess(T12), one case of pneumonia(NT) and one case of sepsis(T1). Conclusion : Serological analysis of T protein of group A streptococci shows no endemic specificity. The yearly pattern reveals that T12 had been decreasing but T1 had shown the opposite trend.

목 적: A군 연쇄구균의 세포벽은 M단백과 T단백으로 구성되어 있고, M단백의 항원성은 현재 90여 가지로 분류되고 있으며 균의 독성과 관련이 있고 질병의 병인론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된다. 반면에 T단백은 항원성 분류는 연쇄구균의 역학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지난 3년 동안 서울시내 5개 지역 병의원의 외래 및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분리된 A군 연구균의 T단백 분류를 통해 역학적 동태를 알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 시내(남부, 북동부, 북부, 북서부, 북부)를 5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외래 및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분리된 A군 연구균의 T단백의 혈청형 분석을 시행하여 연도별 A군 연구균의 혈청학적 형 분류와 침투성질환에서 분류된 연구균의 혈청학적 형 분류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1998년에 5개 지역에서 시행한 92례의 아동에서 A군 연구균을 분리하여 T12, T4, Non-typed(NT)가 72.2%를 차지하였고, 이중 성홍열은 7례가 있었으며 T12와 T4가 각각 3, 4례를 차지하였으며 경부임파선염 1례(T12), 편도농양 2례(T8, NT)이었다. 1999년에는 41례의 아동에서 시행하였으며 T12, T4, T1가 68%의 분포를 보였으며 성홍열은 5례 중 T12, T4가 3례를 차지하였고 폐렴 2례(T4, T1)와 경부임파선염 1례(T8/25)를 나타내었다. 2000년도는 서울 중부를 제외한 지역에서 시행한 83례의 아동에서 T12, T4, T1이 전체의 63.9%를 보였고 성홍열은 3례(T12, T4, T5 각각 1례)와 편도농양 T12 1례와 폐렴 NT 1례, 패혈증 T1 1례를 나타내었다. 결 론: A군 연구균의 T단백의 혈청학적 분석은 서울 내에서의 지역적 특정 분포는 없으나 T12가 감소하는 연도별 차이를 보였다. 성홍열이나 침투성 질환에서 특정 T단백의 분포도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에 T단백의 혈청학적 분석이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주기적으로 더 많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역학적 검사가 이루어 져야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