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내시경 검사시 지속적인 동맥혈 산소포화도 감시의 필요성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Oxygen Saturation During Fiberoptic Bronchoscopy

  • 강현재 (대구파타마병원 내과) ;
  • 김연재 (대구파타마병원 내과) ;
  • 전재현 (대구파타마병원 내과) ;
  • 도윤경 (대구파타마병원 내과) ;
  • 이병기 (대구파타마병원 내과) ;
  • 김원호 (대구파타마병원 내과) ;
  • 박재용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태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Kang, Hyun 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Kim, Yeon 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Chyun, Jae 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Do, Yun K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Lee, Byung K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Kim, Won 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Park, Jae 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 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2.04.30

초록

연구배경: 굴곡성 기관지내시경 검사는 검사로 인한 합병증 및 치명률이 적어 각종 폐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심, 폐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환자에서도 기관지경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많고, 기관지 내시경 시술중의 저산소혈증이 심각한 심부정맥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저산소혈증의 조기발견 및 적절한 처치는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방 법: 1997년 1월3일부터 1997년 6월 30일까지 경북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에서 경기관지폐생검과 기관지 폐포 세척술을 제외한 진단 목적을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37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pulse oxmetry를 이용하여 기관지내시경검사를 시행하는 동안과 시술전후에 동맥혈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였다. 결 과: 1) 남자가 263명, 여자가 116명으로 평균연령은 55세였다. 검사전 시행한 폐기능검사 성적 가운데 FVC는 추정정상치의 백분율의 평균이 $78.9{\pm}20.01%$, $FEV_1$는 추정정상치의 백분율의 평균이 $72.58{\pm}23.89%$, 그리고 $FEV_1/FVC%$$66.4{\pm}14.05%$ 이었다. 2) 시술전 기저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평균 $96.9{\pm}2.85%$였으며, 379예 가운데 62예(16.4%)에서 저산소혈증($SaO_2$ <90%)이 발생하였다. 저산소혈증이 발생한 시기는 기관지경 시술전, 중, 후 각각 12, 37, 13예이었다. 3) 저산소혈증이 있었던 환자들의 성별분포 및 흡연력은 저산소혈증이 없었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연령은 $59.3{\pm}13.52$세로 정상군의 $54.8{\pm}16.52$세 보다 유의하게 많았고, 기저 산소포화도는 $93.7{\pm}4.29%$로 정상군의 $97.5{\pm}1.89%$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시술시간은 저산소혈증이 있었던 군은 $17.6{\pm}8.93$ 분으로 대조군의 $12.0{\pm}6.30$ 분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4) 저산소혈증이 있었던 군의 $FEV_1$은 추정정상치의 백분율의 평균이 $63.6{\pm}22.79%$로 대조군의 $73.9{\pm}23.83%$ 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FVC 및 $FEV_1/FVC%$도 저산소혈증이 있었던 군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이었다. 5) 시술전에 저산소혈증이 있었던 12예 가운데 10예는 저농도의 산소투여로 시술을 무사히 진행하였고, 2예는 지속적인 저산소혈증으로 검사를 중단하였다. 시술동안 저산소혈증이 발생한 37예 가운데 27예는 산소투여로, 9예는 깊은 호흡으로 저산소혈증이 소실되었고 1예는 시술을 중단하였다. 시술 후에 저산소혈증이 발생한 13예의 경우 11예는 저산소혈증이 즉시 소실되었으며 2예는 산소투여가 필요하였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기관지 내시경검사시 지속적인 동맥혈 산소포화도의 감시가 필요하며, 특히 저산소혈증의 빈도가 높은 폐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저산소혈증의 조기발견과 적절한 조치를 위해 반드시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FFB) has become a widely performed technique for diagnosing and managing pulmonary disease because of its low complication and mortality rate. Since the use of FFB can in patients with severely depressed cardiorespiratory function is increasing and hypoxemia during the FFB can induce significant cardiac arrhythmias, the early detection and adequate management of hypoxemia during FFB is clinically important. Method : To evaluate the necessity of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oxygen saturation($SaO_2$) during the FFB, the $SaO_2$ was continuously monitored from the finger tip using pulse oximetry before, during and after the FFB in 379 patient. The patients were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and without hypoxemia($SaO_2$<90%). The baseline pulmonary function data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 The mean baseline $SaO_2$ was $96.9{\pm}2.85%$. An $SaO_2$ <90% was recorded at some point in 62(16.4%) out of 379 patients, with 12 out of 62 experiencing this prior to the FFB, in 37 out of 62 during the FFB, and in 13 out of 62 after the FFB.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moking and sex distribution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hypoxemia. The mean age was older in those with hypoxemia than in thos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ean baseline $SaO_2$ and the mean time for the procedure between the two groups. The $FEV_1$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ose with hypoxemia, and both the FVC and $FEV_1/FVC$ also tended to decrease in this group. Managing hypoxemia included deep breathing in 20 patients, a supplemental oxygen supply in 39 patients, and the abortion of the procedure in 3 patien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oxygen saturation is necessary during fiberoptic bronchoscopy, and it should be performed in patients with a depressed pulmonay function in order for the early detection and adequate management of hypoxemi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