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Needs for the Evaluation of Icons on the basis of Children's Sensibilities in Designing Multimedia Contents for Elementary Education

초등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 설계에서 아동 감성 기반 아이콘 평가의 필요성 분석

  • 한정혜 (청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조미헌 (청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02.06.13
  • Accepted : 2002.07.11
  • Published : 2002.07.30

Abstract

In order to enhance instructional effects of multimedia contents, it is critical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terface and the affective asp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in design processes. The main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needs for evaluating icon design strategies on the basis of children's sensibilities by investigating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in their sensibilities to the icons used in multimedia contents for elementary education. Some interesting findings were obtained from the research. Children had richer sensibilities to the icons presented in multimedia contents than teachers in terms of the average number of adjectives reflecting sensibilities. Among the children group, children living in urban areas showed richer sensibilities to the contents than those in rural areas. When the frequencies of the use of 5 adjectives commonly used by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eachers showed positive sensibilities, but children demonstrated some negative sensibilities. Also children demonstrated richer sensibilities to certain contents tha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d the need for evaluating icon design strategies on the basis of children's sensibilities in designing multimedia contents for children.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활용한 교수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의 설계를 중시해야하며,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특성을 또한 고려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명령어 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로서의 아이콘 설계에 초점을 두고, 아동과 성인으로서의 교사의 감성을 비교하여 감성의 차이 존재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감성을 기반으로 한 아이콘 평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이 교사보다 평균 감성이 더 풍부하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아동 집단 내에서는 도시지역의 아동들이 시골지역의 아동들보다 평균 감성 풍부성이 더 높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그와 더불어서 아동과 교사지간에는 감성 풍부성의 차이뿐만 아니라 감성의 방향 즉 긍정 부정의 감성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 또한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아이콘을 설계함에 있어서 아동의 감성을 기반으로한 평가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