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uracy of the Registered Cause of Death in a County and its Related Factors

일개 군 사망신고자료에 기재된 사인의 정확성과 관련요인

  • Shin, Hee-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Medical School and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Jun-H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Medical School and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Nam, Hae-S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Ryu, So-Ye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Im, Jeong-Soo (National Health Insurance Coporation Social Security Research Center) ;
  • Rhee, Jung-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Medical School and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ung, Eun-Ky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Medical School and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신희영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과학 연구소) ;
  • 신준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과학 연구소) ;
  • 남해성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임정수 (국민건강보험공단 사회보장센터) ;
  • 이정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과학 연구소) ;
  • 정은경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과학 연구소)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Objectives :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registered cause of death in a county and its related factors. Methods :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504 cases, in a county of Chonnam province, registered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1998. Study subjects consisted of 388 of the 504 cases, and their causes of death were established by an interview survey of the next of kin or neighbor and medical record surveys. We compared the registered cause of death with the confirmed cause of death, determined by surveys and medical records, and evalu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ccuracy of the registered cause of death. Results : 62.6% of the deaths were concordant with 19 Chapters classification of cause of death. external causes of mortality, endocrine, nutritional and metabolic diseases, neoplasms and 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showed the good agreement between the registered cause of death and the confirmed cause of death. The factors relating to the accuracy of the registered cause of death were the doctors' diagnosis for the cause of death (adjusted Odds Ratio: 2.67, 95% Confidence Interval: 1.21-5.89) and the grade of the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the death registry (adjusted Odds Ratio: 0.30, 95% CI=0.12-0.78). Conclusions : The accuracy of the registered cause of death was not high. It could be improved by using the doctors' diagnosis for death and improving the job specification for public officials who deal with death registration.

전라남도의 일개 군에서 1998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사망으로 신고된 건수는 총 504건이었으며, 이중 설문조사와 의무기록조사로 확인사인의 추정이 가능했던 388건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확인사인을 신고사인과 비교하고 사망자와 사망관련 변수, 신고자의 특성 그리고 사망신고담당 공무원의 특성에 따른 양자간의 일치율을 통해 신고사인의 정확성과 관련된 인자를 파악하였다. 신고사인과 확인사인의 전체적 일치율은 19대 분류상 62.6%을 보였다. 19대 분류에 의한 사인별 일치율을 보면 손상, 중독 및 사망의 외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신생물, 순환기계질환 순이었다. 반면에 낮은 일치율을 보인 질환은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 근골격계 질환, 정신 및 행동장애 이었다. 사망자 및 사망관련변수에 따른 확인사인과 신고사인의 일치율은 사망자가 남자일 때, 사망 연령이 50대와 60대일 때, 그리고 사망원인 진단자가 의사일 때 높았다. 신고자의 특성별로는 신고자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일치율이 감소하였으며, 신고자의 교육 정도와 직업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사망신고 담당 공무원의 특성에 따라서는 공무원의 직급이 6급인 경우 7급 이상인 경우에 비해 일치율이 높았다. 확인사인과 신고사인의 일치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단변량분석을 실시한 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수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사망원인 진단자가 의사인 경우 비차비 2.67(95% 신뢰구간: 1.21-5.89)로 높았으며, 사망신고담당 공무원의 직급이 7급 이상인 경우 비차비 0.30(95%신뢰구간: 0.12-0.78)로 낮았다. 사망신고자료에 기재된 신고사인의 정확성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무엇보다 중요한 일은 사망을 의사로 하여금 진단하게 하는 일이다. 또한 사망신고담당 공무원의 업무를 명확히 해야 하며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기적이며 강화된 교육도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1999년 사망원인 통계연보(인구동태신고에 의한 집계). 통계청; 2000
  2. Lee DW. An analysis of cause of death form the reported death certificates in Korea. Korean J Prev Med 1981; 14(1): 39-42 (Korean)
  3. Kim IS. Epidemiologic usefulness of registered death Information in Korea. Korean J Epidemiol 1989; 11(2): 143-149(Korean)
  4. Meng KH. Problems and improvement of mortality data in Korea. Korean J Epidemiol 1989; 11(2): 150-154(Korean)
  5. Park DK, Kim SY, Kang JH, Han SH, Kim CH, Lee MC, Yoo TW, Huh BY. Errors in death certificate in Korea. Korean J Acad Fam Med 1992; 13(5): 442-449(Korean)
  6. Chun JH, Lee KS. Actual conditions and pitfalls of death statistics based on the current death registration system in Korea. Korean J Epidemiol 2000; 22(2): 124-135 (Korean)
  7. Hopkins DD, Grant-Worley JA, Bollinger TL. Survey of cause of death query criteria used by state vital statistics programs in the US and the efficacy of the criteria used by the Oregon vital statistics program. Am J Public Health 1989; 79(5): 570-574 https://doi.org/10.2105/AJPH.79.5.570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Instruction manual: Cause-of death querying; 1999
  9. Lerer LB. Improving mortality data in South Africa: review of next of kin statements to determine cause of death in police certification.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93; 47: 248-250 https://doi.org/10.1136/jech.47.3.248
  10. Myers KA, Farquhar DR. Improving the accuracy of death certification. Can J Med Asso 1998; 158(10): 1317-1323
  11. 공세권, 임종권, 김미겸. 한국의 사망력과 사망원인. 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83
  12. 통계청. 1991년 사망원인 특별조사보고서. 통계청; 1992
  13. Nam HS, Park KS, Sun BH, Shin SH, Sohn SJ, Choi JS, Kim BW. A study of the cause of death reported on official death registry in a rural area. Korean J Prev Med 1996; 29(2): 227-238 (Korean)
  14. 김부연. 사망원인 통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통계청; 1999
  15. Benavides FG, Bolumar F, Peris R. Quality of death certificates in Valencia, Spain. Am J Public Health 1989; 79: 1352-1354 https://doi.org/10.2105/AJPH.79.10.1352
  16.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편집위원회.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계축문화사; 2000
  17. Kircher T, Nelson J, Burdo H. The autopsy as a measure of accuracy of the death certificate. N Engl J Med 1985; 313: 1263-1269 https://doi.org/10.1056/NEJM198511143132005
  18. Ermenc B. Comparison of the clinical and post mortem diagnoses of the causes of death. Forensic Sci Int 2000; 114(2): 117-119 https://doi.org/10.1016/S0379-0738(00)00329-7
  19. Kameyama M. Is senility as the cause of death a true conception? Clinical and pathological consideration. Jpn J Geriat 1974; 11: 71-81 https://doi.org/10.3143/geriatrics.11.71
  20. Kazuo Ueda. Cause of death in the elderly and their changing pattern in Hisayma, a Japanese community. Am J Geriatr Soc 1990; 38: 1332-1338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0.tb0345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