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말성 부비동염에서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전.후의 증상 호전도와 음향비강통기도 검사 결과

Treatment Outcomes and Acoustic Rhinometric Results in Endoscopic Sinus Surgery of Adult Chronic Paranasal Sinusitis

  • 김용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김재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장근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이형중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송시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윤석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Kim, Yong-Da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Jae-Yeul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ang, Keun-Young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Hyung-Joong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ong, Si-Youn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Yoon, Seok-Keun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2002.06.30

초록

1999년 6월에서 2000년 6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내시경 검사와 부비동 전산화단층촬영으로 만성 부비동염 혹은 만성 부비동염과 비용으로 진단받고 한 사람의 수술자에 의해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을 시행받은 성인 157명의 환자 중 전향적으로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고 비강음향통기도 검사를 시행한 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결과는 증상접수, 비내시경점수, 방사선점수, 수술접수, 음향비강통기도 검사치를 각각 구하여 이들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3개월, 수술 전과 수술 후 6개월째의 각각 증상 점수는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감소하였다. 음향비강통기도 검사상 전비공에서 7cm 후방을 기준으로 측정한 수술 전과 수술 후 3개월 째 비강체적은 $17.10cm^3$에서 $27.37cm^3$로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증가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3개월 째는 내시경 점수가 낮은 군과 높은 군에서 각각의 증상 점수와 호전도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전과 수술 후 3개월 째의 증상 접수의 호전도는 모든 증상이 호전되었지만 특히 두통, 후각장애, 안면부 통증 및 중압감, 전반적 불편감이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CT점수가 높은 군에서 낮은 군보다 높았다. 수술점수가 높은 군과 낮은 군에서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증상 점수의 호전도와 음향비강통기도 검사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만성 부비동염 환자에서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후 수술 전-후의 호전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주관적인 증상의 호전여부와 객관적인 음향비강통기도 검사를 통한 비강체적의 측정이 수술 후 결과의 판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고, 수술 전 내시경 점수, 수술 전 CT점수 및 수술점수에 따른 증상의 호전여부에 대한 분석 중 수술 전 CT점수가 수술 결과의 판정에 가장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Chronic paranasal sinus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 in the otorhinolaryngologic field. Endoscopic sinus surgery is treatment of choice in chronic paranasal sinus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bjective and subjective treatment outcomes of endoscopic sinus surgery in adult chronic paranasal sinusitis with or without polyp.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84 adult patients underwent endoscopic sinus surgery by one surgeon from June 1999 to June 2000, prospectively. We analyz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ubjective symptom scores and acoustic rhinometric results. Results: Fifty cases were male and thirty four cases female. The average age was of 33 year-old (range: 17 to 66 years). There was significantly improvement of symptom scores in postoperative 3 months and 6 months compared with preoperative symptom scores.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ostoperative total volume of nasal cavity. When we compared high score group with low score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symptom scores between preoperative stage and postoperative 3 months in radiologic grading group. Conclusions: Endoscopic sinus surgery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ranasal sinusitis. It seems to be helpful to employ subjective symptom score system and objective total volume change of nasal cavity through acoustic rhinometric test to analyze effectiveness of endoscopic sinus surgery. In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preoperative factor of sinus surgery outcomes is radiologic grading syst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