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ying Lifestyle and Preferred Sensations of Female Consumer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선호감성

  • Received : 2001.10.29
  • Published : 2002.02.28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ew concept about lifestyle of female consumer in the present time of digital revolution and to analyze the preferences and sensibil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sumer lifestyle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Survey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 of 79 questions and the data of 151 female consumers in the age of 19-34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The 6 factors were extracted from 39 lifestyle questions: consumerism, seeking challenge, communal life, quality of life, digital orientation and active counter plan. 6 Lifestyle clusters of female consumers were as following: the no-concern satisfied, the digital passive, the consumer personal, the digital active, the consumer communal and the adventurous. 30.5% of female consumer was the digital lifestyle who are relatively older and highly educated, of high income and expense rate, and resident in Gangnam. The preferred sensations by female consumer were 5; reasonal, feminine, conspicuous, active, and modest, and the clusters according to the sensations were 5: the casual, the status-symbolism, the rich in contents, the romantist, and the elegance. Lifestyle and preferred sensations were so related that the no-concern satisfied were the status-symbolism and the romantist, while the digital were the richness of contents and the adventurous were the romantist.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주 (1989) 생활양식과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고선영 (1993) 의류제품의 충동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3. 권오경. 김희은. 나영주 (2000) '패션과 감성과학'. 교문사, 서울, pp.238-246
  4. 김미영. 이은영 (1992) 생활양식유형과 의복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1), 3-22
  5. 김춘정. 나영주 (1999) 견직물의 태와 감성차원의 이미지스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6), 134-144
  6. 문삼련. 이경희 (1994) 의복형태와 물방울무늬 공간변화에 따른 이미지 시각적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18(1), 3-14
  7. 오은주 (1998) 재킷과 스커트의 비율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원선 (1987) 의복변인에 의한 세분시장 및 라이프스타일 변인과의 관련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경옥 (1997) 21세기 Fashion Market의 변화와 소재의 방향. 섬유 기술과 산업, 1(4). 451-457
  10. 이경희 (2001) 패션감성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5(3), 537-547
  11. 이부련 (1998)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과의 관계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 17-32
  12. 이성주 (1987) 의복시장의 라이프스타일 세분화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은실 . 이명희 (1995) 노년기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관여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25, 233-247
  14. 이혜주 (1987)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임경복. 임숙자 (1993)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3), 359-366
  16. 정혜영 (1995) 여대생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자아개념, 쇼핑 성향, 상점애고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25, 201-213
  17. 조형오 (1996)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분류 및 소비행동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7(2), 223-240
  18. 차미숭 (1992) 의복형태와 색채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와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채서일 (1992) 체계적 분석의 틀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연구. 소비자학연구, 3(1), 46-63
  20. 하수진. 이경희 (1999) 브래지어 디자인에 의한 시각적 감성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3(6), 767-775
  21. 李舜?. 艮町三生 (1996) '情報化 時代의 感性人間工學' 養英閣, p.17
  22. IRI디자인연구소 (1999) '한국인의 색채감성 척도의 개발에 관한연구'. 통산산업부 보고
  23. Engel J. E, Blackwell R. D. and Kollat D. T. (1978) 'Consumer Behavior'. 3rd Ed., The Dryden Press, Illinois, pp.174-175
  24. Lazer W. (1971) 'Marketing Management : A System Perspective', John Wilsey & sons Inc., New York, pp.483-485
  25. Levy S. J. (1963) 'Symbolism and Life Style, Toward Scientific Marketing' (Ed. by Greyser, S. A.). AMA, Chicago, pp.140-145
  26. Moore D. G. (1963) 'Life Style in Mobile Suburbia, Toward Scientific Marketing'(Ed. By Greyser, S. A.). AMA, Chicago, pp.151-163
  27. Sproles G. B. (1979) 'Fashion-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Burgess Publishing Co., Minneapolis, pp.41-42
  28. Wells W. and Tigert D. (1971) Activities, interests and opinion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Aug., 2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