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Review of 96 Cases

소아의 위장관 이물에 대한 고찰

  • Lee, Min-Ry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Ki-Su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Jung, H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eo, Ji-Hyo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im, Jae-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an-H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Myoung-Bum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Woo, Hyang-O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Youn, Hee-Sha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민혜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강기수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혜성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서지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임재영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찬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명범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우향옥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윤희상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2.08.03
  • Accepted : 2002.08.24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Purpose: Foreign body swallowing is common in children. Most of foreign bodies passed upper esophagus are removed spontaneously. But recently, therapeutic endoscopy in children is widely used. In this study, we reviewed gastric foreign bodies regarding types, location, interval from swallowing, complications, and treatment or method of removal.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96 cases with foreign bodies in gastrointestinal tract at Department of Pediatrics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NUH) from Feb 1987 to Feb 2002. Results: The peak age of patients (male=60, female=36) with foreign bodies in gastrointestinal tract was 2 to 5 years of age. Sixty two patients (64.5%) were asymptomatic. The location of foreign bodies in gastrointestinal tract were detected by simple X-ray in eighty one patients (86.0%), barium study (1 case), and gastroduodenoscopy in 37 cases.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stomach (63.5%). The most common foreign body was coin (41.7%). In thirty seven cases (38.5%), foreign bodies were removed with flexible gastroduodenoscopy. Fifty four patients (56.3%) visited GNUH in 24 hours after swallowing foreign bodies. The long interval (over 24 hours) of swallowing of foreign bodies is related with high frequency of endoscopic removal. Conclusion: The flexible gastroduodenoscopy was effective in diagnosis and removal of foreign bodies. Further studies for indication and validity of endoscopic removal of foreign bodies in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are needed.

목 적: 위 이하의 소화관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자연 배출을 기다리거나 제거를 요하는 치료를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15년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상부 소화관 이물로 진단 받은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있었던 경우를 자연 배출이 되었던 경우와 내시경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의 이물의 위치, 임상 증상, 방사선 소견, 이물을 삼킨 후 내원까지 걸린 시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방 법: 1987년 2월부터 2002년 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이불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0~15세 소아 환아 220명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위치했던 경우 96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이물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220명 중 내원당시 위나 소장 이하의 부위에 이물이 있었던 경우는 96례였다. 호발 연령은 2~5세였으며, 남아 60명, 여아 36명이었다(남 : 녀=1.66 : 1) 무증상이였던 경우가 62례(64.5%)였고 나머지에서는 구토, 이물감, 복통, 흉통, 보챔 등의 증상이 있었다. 방사선 검사로 이물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는 81례(86%)였고, 이물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여 바륨 조영술을 시행한 경우가 1례, 내시경적으로 위치를 확인한 경우가 37례였다. 이물이 발견된 위치로는 위가 71례로 가장 많았으며, 소장 및 대장에서 발견되었던 경우는 25례였다. 이물의 종류는 동전(40%)이 가장 많았고, 핀과 같은 날카로운 물질이 27례 있었다 치료로 상부 소화관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가 37례(38.5%)였으며, 4례에서는 전신마취 하에 수술로 제거하였다. 55례에서 자연 배출을 기다렸다. 자연 배출을 지켜본 경우 55례 중 37례가 이불 연하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내원한 경우로 가장 많았다. 24시간 이후에서 2주 사이에 내원한 경우 위내에 이물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면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이물을 제거하였다 이물 연하의 합병증으로는 출혈, 미란, 궤양, 미세천공, 장폐색이 있었으나 빈도는 적었다. 결 론: 본 저자들은 15년 간의 위 이하의 소화관 이불 96례에 대한 고찰한 결과 소아용 위장관 내시경의 발전으로 상부 위장관 이물의 진단과 치료가 용이해졌음을 알 수 있었으나 자연배출을 기다려볼 수 있는 상황에서도 내시경을 이용한 제거가 증가하였는데 이에 대한 타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