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역 특성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Forest Fire Burned Area using GIS

  • 투고 : 2002.02.25
  • 발행 : 2002.03.31

초록

전국토의 65%가 산림지역인 우리 나라의 경우 1990년대에 들어와서 산불발생건수 및 피해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GIS(지리정보 시스템)를 이용하여 산불피해지역의 지형을 분석하였고, 기상자료와 임상자료를 포함하여 소형산불과 대형산불의 인자간 상호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형산불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사면장, 사면경사, 풍속, 수종, 수종연속성이 산불의 대형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orest fire occurrences and burned area are increasing every year since 1990 in Korea, of which 65% is covered by fores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 burned area using GIS, and we also applied th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fire characteristics such as weather, forest as fuels and topography in small and large forest fire burned areas. The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size of forest fire was related to the slope length, slope degree, wind speed, forest type, and forest continu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