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R-factor for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ith Monthly Precipitation Data in North Korea

북한 지역의 월 강수량으로부터 토양 유실 예측 공식 적용을 위한 강수 인자 산출

  • Received : 2002.03.26
  • Accepted : 2002.02.25
  • Published : 2002.04.30

Abstract

Soil erosion is detrimental to sustain soil productivity in north Korea, since agriculture of this country depends largely upon the slope land in mountainous area. Taking any measure for protection from erosion should be based on prediction of soil loss. Estimation of rainfall factor, R, in north Korea for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as attempted. The monthly precipitation data of the twenty six locations provided by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were us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II_30 and the July-August precipitation concentration percents, the regional adjustment factor was obtained. The rainfall factor was calculated with the monthly precipitation data and the regional adjustment factor. The annual precipitation in north Korea ranged from 606 to 1,520mm, and the July-August precipitation concentration percents were 34.4 to 53.8. The regional adjustment factor ranged from 0.53 to 1.33 showing lower value in the highland and east coastal region than in the mid mountainous inland and west region. The R-factor value estimated from the monthly precipitation and the regional adjustment factor ranged from 107 to 483, which was lower than average value in south Korea.

북한 지역은 산이 많고, 경사지 밭이 많아 토양 유실이 심하므로, 토지를 보호하는 것이 토양의 지력 유지에 중요하다. 토양 보전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각 지역의 토양 유실 가능량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토양 유실 예측에 USLE가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북한 지역의 토양 유실 예측에 필요한 강수 인자8의 산출이 시도되었다. 북한 지역의 수집 가능한 75개소의 월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월 강수량의 7, 8월 강수 집중도(X)로부터 지역 보정 인자를 산출하였다. 지역 보정 인자($U_{adj}$) 산출을 위한 기본식은 남한의 중북부 지역 20개소의 $EI_{30}$와 월강수량 자료로부터 얻어 낸 식 $$U_{adj}=4.095{\cdot}X-0.878(r=0.689^{**})$$ 을 적용하였다. 북한 지역의 강수량은 606-1,520mm이었으며, 7, 8월 집중도는 34.4%~53.8%이었다. 이에 따른 지역 보정 계수 $U_{adj}$는 0.53~1.33이었으며, 동해안과 산간 지방의 $U_{adj}$ 값이 서해안과 내륙 지방의 $U_{adj}$ 값보다 낮았다. 지역 보정 계수를 고려한 USLE의 강수 인자 $R_{adj}$는 107 ~ 493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평균 259.6으로 남한의 평균 R 값 434.5보다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인수. 2000. 북한의 토양과 특성. 북한의 토양.비료 .식량에 관한 심포지움. 한국토양비료학회 :1-38
  2. 림주영 . 1987. 농업전서 . 토양편. 평양종합인쇄 :pp608
  3. 박성우. 1976. 토양 유실에 미치는 각 지방별 강우 에너지 분석. 한국수문학회지 9(1):47-54
  4. 박성우. 1983. 농지보전공학. 1983년도 교육부 대학원 중점지원육성비 연구보고서 :pp84
  5. 박성우, 조국광. 1982. 경사지에서의 토양유실(지형인자를 중심으로). 한국농공학회지 23(2):54-60
  6. 신제성, 고문환. 임정남. 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추정.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6(2):106-111
  7. 윤호섭, 정병호. 1996. 북한 지역의 '95년 대홍수와 농업생산 기반. 북한농업연구 3:33-41
  8. 정영상, 신제성, 신 용화. 1976a. 야산개발지의 토양 침식에 관하여.한국토양비료학회지 9(1):9-16
  9. 정영상, 신제성, 신용화. 1976b. 경사지 토양의 침식성 인자 에 관하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9(2):
  10. 정영상, 권영기, 임형식, 하상건, 양재의. 1999. 강원도 경사지 토양 유실 예측용 신USLE의 적용을 위한 강수 인자와 토양 침식성 인자의 검토.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2(1):31-38
  11. 정필균, 고 문환, 엄기태, 1985. 토양 유실량 예측을 위한 작부인자 검토.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8(1):7-13
  12. 정필균, 고 문환. 임 정남, 엄 기태, 최대옹. 1983. 토양 유실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6(2):112-118
  13. Joo, J. H., J. E. Yang, J. J. Kim, Y. S. Jung, J. D. Choi, S. Y. Yun, and K. S. Ryu. 2000. Assessment of soil aggregates and erodibility under different management practices in the mountainous soils. J. Kor. Soc. Soi Sci. Fert. 33(2):61-70
  14. Wischmeier, W. H. and D. D. Smith.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SDA Ag. Handbook 537:pp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