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Soil and Crop Root System II. Analysis of soil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different soil Environmental conditions by MIDI and DNA analyses

토양과 작물근계의 미생물군집 구조 해석 II. MIDI 및 DNA 분석에 의한 토양환경별 미생물 군집 해석

  • Ryu, Jin-Chang (Division of Molecular Genetics, National Instional Institute of Agricult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Kwon, Soon-Wo (Division of Molecular Genetics, National Instional Institute of Agricult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Kim, Jong-Shik (Division of Molecular Genetics, National Instional Institute of Agricult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Suh, Jang-Sun (Division of Soil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Jung, Beung-Gan (Division of Soil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Choi, Sun-Shik (Division of Soil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류진창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분자유전과) ;
  • 권순우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분자유전과) ;
  • 김종식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분자유전과) ;
  • 서장선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토양관리과) ;
  • 정병간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토양관리과) ;
  • 최선식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토양관리과)
  • Received : 2002.02.07
  • Accepted : 2002.01.15
  • Published : 2002.04.30

Abstract

To evaluate the correlations of microbial populations with soil healthiness and crop production and establish the criteria for microbial population of soil types. We analyzed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of 13 soils which were different i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cultiv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icrobial population suing the dilution plate method, the large differences of the microbial population structures among soil types were shown: aerobic bacteria $2-27{\times}10^6$, fluorescent Pseudomonas $1-1,364{\times}10^5$, Gram negative bacteria $1-126{\times}10^4$, and mesophilic Bacillus $1-110{\times}10^5$. The density of Gram negative bacteria was highest on red pepper cultivating soils (sample no. 4 and 6) of Umsung and Gesan, Chungbuk, and the density of the fluorescent Pseudomonas was highest on greenhouse soil (sample no. 7) of Jinju, Kyungnam. The crop productivity of three soils was high a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oils. It was supposed that the density of fluorescent Pseudomonas and mesophilic Bacillus were correlated with the incresed crop production. By MIDI analysis, 579 strains isolated from 13 soils composed of a variety of microbes including 102 isolates of Agrobacterium, 112 isolates of Bacillus, 32 isolates of Pseudomonas, 44 isolates of Kocuria, and 34 isolates of Pseudomonas. Among the 624 isolates of Gram negative bacteria, Pseudomonas including P. putida and p. fluorescens occupied the highest density (51%), and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and Burkholderia cepacia also appeared at high density. From RAPD analysis, the fluorescent Pseudomonas strains isolated from 13 soil types showed a high level of strain diversities and were grouped into 2 - 14 patterns according to soil types. Many of unknown bacteria were recovered from the paddy soil, and needed to be further characterized on the molecular basis.

토양의 특성과 재배 환경이 상이한 13개 토양을 대상으로 미생물의 다양성을 분석하여 토양 환경별 미생물상 지표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희석 평판법에 의한 토양별 미생물의 군집은 호기성 세균은 $2{\sim}27{\times}10^6$, 형광성 Pseudomonas는 $1{\sim}1364{\times}10^5$, 그람 음성 세균은 $1{\sim}126{\times}10^4$, 중온성 Bacillus는 $1{\sim}110{\times}10^5$ 범위로 토양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그람 음성 세균은 충북 음성 고추 재배지 (4번 토양)과 충북 괴산 고추 재배지 (6번) 토양이 현저히 많았고, 형광성 Pseudomonas는 경남 진주의 시설재배지 (7번 토양)에서 현저히 높은 군락을 형성하였고, 이 들 토양은 작물의 생육이 양호한 토양이었다. 따라서 시설재배인 토양에서는 그람 음성 형광성 Pseudomonas 및 mesophillic bacillus의 군집이 토양 환경 및 작물 생육과 미생물의 지표로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3개 토양에서 분리한 579 균주 중 호기성 세균은 Agrobacterium 102 isolates, Bacillus 112 isolates, Pseudomonas 32 isolates, Kocuria 44 isolates, Paenibacillus 34 isolates 등의 다양한 군집을 이루고 있었고, 또한 624균주의 그람 음성 세균은 Pseudomonas 속이 51%로 제일 많은 군집을 이루고 있었는데 이 들 속내에는 Pseudomonas putica, Pseudomonas fluorescens 등이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Senotrophomonas maltophilia, Bukhodenis cepacia 순으로 다양한 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RAPD 분석에 의한 Pseudomonas의 종 다양성은 토양에 따라서 4-31개의 균주 types을 보였으며 특히 4, 6번 토양에서 균주의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형광성 Pseudomonas의 군집을 많이 이루었던 7번 토양에서는 26균주에서 5개 균주 types을 보여 종 다양성이 단수하였다. 토양 환경별 미생물 군집은 논 토양에서 신규 세균으로 추정되는 다수의 새로운 분리균이 출현되어 새로운 지표 미생물의 가능성을 제시 하였으며, 또한 MIDI 분석에서 no match 되는 분리균에 대한 미생물 자원의 이용성이 높이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Jong-Shik Kim, Soon-Wo Kwon, Jin-Chang Ryu and Chang-Sool Yahang. 2000.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soil and root system by 16S rRNA eenes. Kor. J. Soil Sci. & Fert. 33(4):266-274
  2. 권순우, 고승주, 전명숙, 강희완, 오세종, 장후봉, 류진창. 1999. 종 특이 probe를 이용한 버섯 세균성갈반병 병원균 (Pseudomonas tolaasii)의 검출. 한국균학회지. Vol.27(2):132-137
  3. 권장식, 서장선, 원항연, 신제성. 1998. 염류 집적 시설재배지의 토양미 생물상 평가. 한토비지 31(2):204-210
  4. 김종식, 권순우, 이선주, 정병간, 송재경, 고승주, 류진창 1999. 토양과 작물근계의 미생물군집 구조 해석 I. 고추 및 토마토 재배지 토양과 근계의 세균군집 구조해석. 한토비지 32(3):319-325
  5. Soon-Wo Kwon, Jong-Sik Kim, Jin-Chang Ryu. 2000. Diversity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fluorescent Pseudomonads isolated from soil-root system of red pepper in green-house. J. KSSF. 33(4): 275-282
  6. 김복영, 정병간, 최정원, 윤을수, 최선. 1995. 우리나라 논 토양중 중금속 자뭔 함량. 한토비지. 28(4):295-300
  7. 서장선, 신재성. 1997. 논토양 서식 미생물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토비지, 30(2):200-207
  8. 서장선. 정병간, 권장식. 1998. 우리나라 중부지방 시설재배지 토양 미생물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9. 서장선, 연병열. 1998. 부숙퇴비 시용 내력 지표 미생물로서의 고온성 Bacillus. 한토비지 31(3): 285-290
  10. 정구복. 김호중, 정기열, 정병간, 김원일. 1998. 우리나라 밭토양 및 작물의 중금속 함량. 한토비지, 31(3):225-232
  11. Ausubel, F. M., R. Brent, R. E. Kingston, D. D. Moore, J. G. Seidmann. J. A. Smith. and K. Struhl. 1987.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Greene Publishing Associates and Wiley Interscience, New York, N. Y.
  12. Dabboussi F., M. Hamze, M. Elomari, S. Verhille. N. Baida, D. Izard and H. Leclerc. 1999. Pseudomonas libanensis sp. nov., new species isolated from Lebanese spring waters. Int. J. of Syst. Bacteriol. 49:1091-1101 https://doi.org/10.1099/00207713-49-3-1091
  13. Palleroni, N. J., Kunisawa, R., Contopoulou, R. & Doudoroff, M. 1973. Nucleic acid homologies in the genus Pseudomonas. Int. J. Syst. Bacteiol. 23:333-339 https://doi.org/10.1099/00207713-23-4-333
  14. Torsvik, V., R. Sorheim and J. Goksoyr. 1996. Total bacterial diversity in soil and sediment communities - a review. J. Ind. Microbiol. 17 : 170-178 https://doi.org/10.1007/BF01574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