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bundance, carbon biomass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of each size-fractionated plankton on the basis of trophical level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spac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each biological parameter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Jungmu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from July 1999 to June 2000. Heterotrophic picoplankton (HPP) abundance averaged 1.4${\times}$$10^{6}$ cells ${\cdot}$ $ml^{-1}$ at of offshore and 8.3${\times}$$10^{5}$ cells ${\cdot}$ $ml^{-1}$ at inshore, while autotrophic picoplankton (APP) abundance 9.9${\times}$$10^{4}$ cells ${\cdot}$ $ml^{-1}$ at of offshore and 7.1${\times}$$10^{4}$ cells ${\cdot}$ $ml^{-1}$ at inshore. They were more abundant at of offshore than at inshore, and also more abundant than the other areas of Korean waters. On the other hand, heterotrophic and autotrophic nanoplankton (HNP, ANP) were more abundant at inshore than at of offshore. Microplankton (AMP) abundance was affected by diatom (r=0.962, P${\le}$0.001) at inshore and by dinoflagellate (r=0.868, P${\le}$0.001) at of offshore. However correlations between each plankton group in terms of size and trophic level were not significant. Carbon biomass showed as same a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abundance, but composition percentage of each biomass of plankton group were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abundance, representing the highest percentage in ANP. Seasonal fluctuation of chlorophyll a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ize class, showing the highest with 0.42 ${\mu}g$CHl-${\alpha}$${\cdot}$$1^{-1}$(57.9%) of APP in March 2000, 1.42 ${\mu}g$CHl-${\alpha}$${\cdot}$$1^{-1}$(74.7%) of ANP in May 2000, and 1.51 ${\mu}g$CHl-${\alpha}$${\cdot}$$1^{-1}$(81.8%) of AMP in July 1999. Correlation between biological parameters and environmental factors b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rst factor as main explanation is the increasing of phosphorus and silica and the increasing of the at both of offshore and inshore. The N:P ratio were 36.4 at inshore and 32.6 at of offshore, showing the lack of phosphorus. Thus we suggest that phosphorus might be a main limiting factor to affect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tudy area.
제주도 중문 연안역의 각 크기별 플랑크톤을 영양형에 따라 구분하여 세포수, 탄소량, 엽록소량의 시 ${\cdot}$ 공간 분포 그리고 환경요인간의 상관관계를 1999년 7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종속영양성 초미세플랑크톤(HPP) 세포수의 연평균은 외해에서 1.4${\times}$$10^{6}$ cells ${\cdot}$ $ml^{-1}$, 해안에서 8.3${\times}$$10^{5}$ cells ${\cdot}$ $ml^{-1}$을 보였고, 독립영양성 초미세플랑크톤(APP)도 외해에서 9.9${\times}$$10^{4}$ cells ${\cdot}$ $ml^{-1}$, 해안에서 7.1${\times}$$10^{4}$ cells ${\cdot}$ $ml^{-1}$을 보여 외해에서 더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우리나라 다른 해역에 비해서도 많았다. 그러나 종속 및 독립영양성 미소플랑크톤(HNP, ANP)은 해안이 외해보다 더 많은 세포수 분포를 보였다. 소형플랑크톤(AMP) 세포수는 해안에서는 규조류의 변동(r=0.962, P${\le}$0.001), 외해에서 와편모조류의 변동 (r=0.868, P${\le}$0.001)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영양형과 크기별 구분에 의한 각 그룹간 상관관계에서 포식자와 피식자의 상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탄소량의 공간적인 분포는 세포수와 같았으나 크기별 비율은 전혀 달라 독립영양성 미소플랑크톤(ANP) 탄소량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크기군에 따라 엽록소량의 계절변동은 달랐으며 초미세플랑크톤(APP)은 2000년 3월에 0.42 ${\mu}g$CHl-${\alpha}$${\cdot}$$1^{-1}$(57.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미소플랑크톤(ANP)은 2000년 5월에 1.42 ${\mu}g$CHl-${\alpha}$${\cdot}$$1^{-1}$(74.7%)로 가장 높았으며 소형플랑크톤(AMP)은 1999년 7월에 1.51 ${\mu}g$CHl-${\alpha}$${\cdot}$$1^{-1}$(81.8%)로 가장 높았다. 생물인자와 환경요인의 상관성을 주성분 분석에 의한 요인을 추출한 결과 인,규소 증가와 자가영양성 미소플랑크톤(ANP)증가에 미치는 요인이 해안과 외해에서 동일하게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다. N:P 비도 해안에서 36.4, 외해에서 32.6을 보이고 있어 인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해역은 인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중요한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