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의 환경기준 초과양상에 대한 연구

The Exceedance Patterns of O3 Air Quality Standards from 31 Monitoring Stations in Seoul

  • 김민영 (서울시 보건환경 연구원) ;
  • 최여진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 ;
  • 김기현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
  • Kim, Min-You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Choi, Ye-Jin (Department of Geoinformation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Kim, Ki-Hyun (Department of Geoinformation Sciences, Sejong University)
  • 발행 : 2002.12.31

초록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1년의 기간동안 서울지역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을 중심으로 관측된 오존자료 중 환경기준을 초과한 자료만을 선별적으로 분리한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서울시의 4대 권역별 (NE, SE, SW, NW) 기준초과양상을 여러 가지 관점에서 비교해 보았다. 24시간을 주기로 초과농도의 발생 경향을 비교해 본 결과, SW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오존의 총 발생시간이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생빈도를 중심으로 4대 지역에 대한 월별 경향성을 비교했을 때 NW지역에서 여타 지역보다 최고빈도의 발생시기가 약간 뒤처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해를 거듭할수록 오존의 환경기준 초과발생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현상은 NE, SE를 포함하는 서울의 동쪽지역에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타나났다. 전체 11년동안 초과치의 최고 발생빈도를 지역별로 비교해 보면, NE지역에서 1998년에 그리고 나머지 세지역은 모두 2000년에 나타났다. 이처럼 오존의 환경기준 초과횟수는 최근에 들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초과농도의 크기에 대한 결과를 보면, 오히려 90년대 초반에 고농도가 집중된 데 반해, 90년대 후반에는 상대적으로 초과농도의 크기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관측기간동안 서울지역에서 관측된 평균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오존초과자료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크기나 빈도에 상관없이 모두 기온과 일정 수준 이상 양의 상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전반적으로 기온의 변화는 오존의 초과농도발생과 상당 수준 연계되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 this work. we investigated the ozone data sets that exceeded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from 31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dispersed across the Seoul metropolitan city during the period covering 1990 and 2000. To specifically describe spatial dependency of high level O$_3$ occurrence, we grouped our data into four different geographical ozone exceedance is much longer in SW than the other three sectors. When we compared the exceedance data in terms of occurrence frequency, the month of maximum frequency differed slightly among different sectors. Examination of long-term exceedance trend indicated that its frequency increased continuously from all sectors over the past years, although slightly opposite patterns existed in their absolute values. Most importantly, its peak occurrence frequency seemed to center in very recent years such as 1998 (NE sector) and 2000 (ail pattern sectors except NE). Consequently, we were able to describe the existence of certain patterns of ozone exceedance data sets in terms of both temporal and spatial scale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환경학회지 v.5 no.3 부산 연안역의 오존농도에 미치는 해풍의 영향 김유근;이화운;전병일;홍정혜
  2. 대한환경공학회지 v.7 no.2 부산에서의 기인물질 발생원 특성과 오존 생성 박옥현
  3. 환경지리학회지 v.5 no.2 인천지역의 대기 중 오존 및 먼지 저감에 관한 연구 박찬진
  4.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11 no.3 청정지역과 도시지역의 오존농도 특성 연구 서명석;박경윤;이호근;장광미;강창희;허철구;김영준
  5.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11 no.1 충북 청원군에서 관측된 지표면 부근의 오존 윤마병;정용승
  6.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9 no.1 서울시 대기중 오존오염도의 연도별 변화와 그 영향인자 분석-광화문 지역을 중심으로- 이기원;권숙표;정용
  7. 한국환경공학회지 v.21 no.10 서울시 및 수도권 지역에서의 오존농도 예측을 위한 모델개발 이향림;선우영
  8.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부산연안의 고농도 오존일의 예측기법개발과 오존농도 수치모의 전병일
  9.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v.8 no.2 부산 동삼동 지역의 지표오존농도 특성 연구 전병일
  10.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2 no.1 서울시 대기중 오존의 오염도와 그 영향인자 분석 정용;장재연;권숙표
  11.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7 no.3 서울 수도권 지역의 광화학오존에 관한 연구 정용승;정재섭
  12. 한국환경과학회지 v.4 no.1 한국의 시골지역에서의 오존농도의 특성 정용승;Liang-Xi Zhong
  13. 한국대기학회지 v.30 no.2 서울의 오존전량 변동과 경향 조희구;김해경;이규태
  14. 환경영향평가 v.5 no.1 오존농도 시뮬레이션과 배출량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 한진석;김병곤;김신도
  15.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9 no.3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고농도 오존의 예측에 관한 연구 허정숙;김동술
  16. 환경백서 환경부
  17. 환경백서 환경부
  18. 환경백서 환경부
  19. 환경통계연감 no.13 환경부
  20. 대기환경연보 환경부
  21. 대기오염측정자료 환경부
  22. Indust. Eng. Chem. v.44 Photochemistry in the lower atmosphere Blacet, F.E. https://doi.org/10.1021/ie50510a044
  23. Atmospheric Environment v.34 The usefulness of air quality monitoring and air quality impact studies before the introduction of reformulated gasolines in developing countries. Mexico City, a real case study Bravo, H.A.;R.J. Torres https://doi.org/10.1016/S1352-2310(99)00382-9
  24. Science v.261 Achieving acceptable air quality: some reflections on controlling vehicle emissions Calvert, J.G.;J.B. Heywood;R.F. Sawyer,;J.H. Seinfeld https://doi.org/10.1126/science.261.5117.37
  25. J.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438 no.92 Ozone Exposure and Population Density in Harris County, Texas Carroll, R.J.;R. Chen;E.I. George;T.H. Li;H.J. Newton;H. Schmiediche;N. Wang
  26. Air Pollution v.11 Biological effects of air pollutants Coffin, D.L.;H.E. Stokinger
  27. Atmospheric Environment v.35 Trends in exceedances of the ozone air quality standard in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1980-1998 Cynthia C.Y.;J.J. Danie;M.F. Arlene https://doi.org/10.1016/S1352-2310(01)00152-2
  28. Indust. Eng. Chem. v.45 Ozone formation in photochemical oxidation of organic substances Haagen-Smit, A.J.;C.E. Bradley;M.M. Fox https://doi.org/10.1021/ie50525a044
  29. Atmospheric Environment v.35 A Study of surface ozene and the relation to complex wind flow in Hong Kong Wang, T.;Y.Y. Wu;T.F. Cheung;K.S. Lam https://doi.org/10.1016/S1352-2310(00)005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