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a Scoring Rubric for Students' Mind Maps and Its Reliability

마인드 맵의 채점 기준 개발 및 신뢰도 검증

  • Lee, Su-Jung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
  • Su-Jung, Chan-Jong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수정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찬종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scoring rubric for students’ mind map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students in two fourth-grade classes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Pyungtaek-shi. After receiving basic training, students developed mind maps four times while teaming two science units. In order to score the mind maps, a scoring rubric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reliability of the rubric, selected mind maps were marked by three teachers and correlational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with SPSS. As a result of the study, a scoring rubric consisted of three domains, central circle, branches, and expression were developed. The reliability of the rubric is proven to be high to very high.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인드 맵의 채점 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평택시 소재 한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마인드 맵 작성 기초 훈련을 받고, 과학 단원 2개를 배우는 동안 마인드 맵 4개를 작성하였다. 마인드 맵을 채점하기 위해서 채점기준을 개발하였다. 채점기준의 채점자간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표집한 마인드 맵을 초등 현직 교사 3인이 채점하고, 채점자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중심원, 가지, 표현의 세 영역으로 구성된 마인드 맵 채점 기준을 개발하였다. 채점 기준의 신뢰도는 높음에서 매우 높음의 범위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초등과학교육 v.15 no.2 창의력 계발을 위한 자연과학습에서의 마인드 맵의 활용 강호감;김남일;하정원
  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21 no.1 창의력 계발을 위한 자연과 교수·학습자료 개발-2 개발과 적용 강호감;노석구;이희순;홍석인;최선영;원용준;하정원;김지선
  3. 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학교 교육에 있어서 마인드 맵의 역할 김병재
  4.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자연과 수업에서 마인드 맵 활동이 과학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윤성
  5.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마인드 맵 활동이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나민호
  6. 타당도와 신뢰도 성태제
  7.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마인드 맵 활용 교수법이 아동의 학습 태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양선희
  8.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중학교 생물 교수전략으로서의 개념도 활용: 학생중심 개념도수업과 교사중심 개념도 수업 오금영
  9. 마인드 맵 학습 방법 활용에 관한 실증적 사례 연구 이두한
  1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포트폴리오 체제의 적용이 초등학교 학생의 개념의 양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 이수정
  11.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과학 교수 전략으로서의 개념도 활용에 관한 연구 장옥화
  12.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마인드 맵을 활용한 과학과 학습 활동이 아동의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정영숙
  13. 초등과학교육 v.20 no.2 마인드 맵 활용이 자연과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최은순;노석구
  14.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Ausubel, D.
  15. The mind map book Buzan, T.;라명화(역)
  16. Computer Graphics May, Concept mapping, mind mapping and creativity Goldstein, J.
  17. Effects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related STS approach instruction on cognitive structur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cClure, J. R.;Bell, P. E.
  18. Learning how to learn Novak, J.D.;Gowin, D.B.
  19.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27 The concept map as a research tool: Exploring conceptual change in biology Wallace, J.D.;Mintzes, J.J. https://doi.org/10.1002/tea.3660271010
  20. Cognitive Structure and Conceptual Change Describing the cognitive structure of learners following instruction in chemistry West, L. T.;Fensham, P. J.;Garrad, J.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