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Factorial structure of Kinematic variables in Bowling

볼링의 운동학적 분석과 주요인 구조분석

  • Lee, Kyung-Il (Division of Physical Education,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이경일 (조선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부)
  • Received : 2002.11.08
  • Published : 2002.08.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dentify changeability of the factorial structure of kinematic analysis in bowling. Subjects of group composed of three groups : Higher bowers who are national representative bowers with 200 average point and one pro-bowler. Middle bowlers who are three common persons with 170 average points. Lower bowler who are three common persons with 150 average points. Motion analysis on throw motion in three groups respectively has been made through three-dimension cinematography using DLT method. Two high-speed video camera at operating 180 and 60 frame per secondary. T-test factorial structure analysis has been used to define variable relations. It was concluded that : 1. The difference of x1, x2, x4, x8, x9, x11, x12, x13 where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 2. The difference of number of spin and angle of the back-hand wh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p<.001, p<.05) 3. The correlation over r=.5 between the kinematic data x1, x2, x3, x9, x10, x11. In the rotation loading matrix Factor 1 was x1, x2, x9, x10 and Factor 2 relates to x3, x11. 4. In order to obtain the factor score as follow as ; Factor 1 = (0.248)X1 + (0.265)X2 + (-0.074)X3 + (0.259)X9 + (0.259)X10 + (-0.025)X11 Factor 2=(-0.016)X1 + (-0.055)X2 + (0.84)X3 + (-0.013)X9 + (-0.007)X10 + (0.553)X11.

본 연구는 볼링의 운동학적 변인들을 규명하고 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볼링의 운동학적 변인들에 대한 주요인 구조를 파악할 뿐 아니라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하여 볼링 지도자와 볼러들에게 경기력 향상에 관한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볼링의 운동학적 변인을 분석하고 변인들간의 관계 및 중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볼러들과 지도자들에게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프로 1명, 국가대표 2명, 일반 볼러 6명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시 방향의 일치성을 위해 모두 오른손잡이로 선정하였다. 스트라이크 포켓 존(1-3번핀 사이)에 볼이 진입된 시기만을 선택하였으며 선택된 시기 가운데 스트라이크가 발생된 3회의 시기와 스트라이크가 발생되지 않는 3회의 시기로 총 54회의 시기 가운데 2회의 시기를 제외하고 52회의 시기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볼링의 운동학적 변인들의 집단간 차이를 보기위한 t-test결과 x1(오른쪽 어깨 위치), x2(볼중심 위치), x8(볼의 회전수), x9(손끝 위치), x10(손등위치), x11(손끝 속도), x12(손등 속도), x13(손등 각도)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x3(오른쪽 어깨 속도), x5(오른쪽 손목 각도), x6(오른쪽 어깨 각도), x7(소요시간)은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x8(볼의 회전수)의 경우 우수집단이 $12.25{\pm}0.90$, 비우수집단이 $8.39{\pm}1.88$로 집단간 평균차는 3.86이며 p<.001수준에서 t = 7.48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요인점수는 관측대상이 각 변수에 대해 회답한 결과를 요인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요인 공간상의 점수로 변환시켜 연구자가 각 관측대상의 요인 공간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조선대학교

References

  1. 강상조, 조정환 (1986). 아시안게임 입상자 경기력 결정요인분석. 스포츠과학연구과제 종합 보고서(II). pp.89-156.
  2. 김복주 (1996). 육상중장거리선수들의 지구성 운동능력의 경기력 요인과 경기력간의 상관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논문집. 19. pp.117-128.
  3. 김재필 (1998). 클레식 볼링모션과 파워 볼링모션의 운동학적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노형진 (2001). 한글 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서울 : 형설출판사.
  5. 류지선 외 2명 (1998). 볼링 5스텝 투구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 체육학회지.
  6. 송영호 (1993). 체력요인에 의한 배드민턴종목의 경기력 결정요인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경일 (1998). 볼링의 운동역학적 분석.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기청 (1990). 볼링 투구동작의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종경 (1996). 체력요인에 의한 핸드볼종목의 경기력 경정요인 분석.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차정훈 (1997). 체력요인에 의한 테니스 종목의 경기력 결정요인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Broer, M. R. (1960). Efficiency of Human Movement. Philadelphia : W.B.S aunder CO.
  12. Joan L. Martin & Ruth E. Tandy (1994). Bowling seventh edition. Wm. C. Brown Publishers.
  13. Kwon, Y. H. (1993). KWON3D Motion Analysis Package Version 2.1, User's Reference Manual. Technical document.
  14. Larry. V. (1996). Bowling Magazine, New York, Bowling Magazine Co.
  15. Pollock, M. L, Jackson, A. S., & Rate, R. R. (1980). Discriminant analysis of physical differences between good and elite distance runners. Research Quarterly, 51. pp.521-532.
  16. Professional Bowlers Assocation. (1994). "Guide to Better Bowling", New York : Simon and Schuster.
  17. Robert H. Strickland(1996). Bowling Step to Success(1.2). Human Kin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