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창던지기 동작의 kinematic적 특성분석

Kinematical Analysis of Woman Javelin Throwing

  • 이종훈 (서울산업대학교 인문사회자연대학 사회체육학과)
  • 투고 : 2002.11.01
  • 발행 : 2002.08.30

초록

투창동작시 투창의 투사속도, 투사높이, 투사각도, 공기의 저항 등은 창의 수평거리와 궤적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본 연구에서는 투창의 던지기 동작시 선수들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선수지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제65회 전국육상경기 선수권대회 및 2002년 아시아게임 선발전경기의 상위 입상자 3명을 대상으로 힘발이 지면에 착지하는 순간부터 지지발이 지면에 착지하는 순간과 창이 손으로부터 릴리즈 되는 순간까지를 3차원 분석을 통하여 운동학적 변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선수들은 창을 뒤로 젖히고 크로스 스텝하는 동안 수평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릴리즈시 투사요인의 투사높이는 평균 $84{\pm}3.3%$, 투사각도는 평균 $38.7{\pm}1.9$도를 투사속도는 $15.6{\pm}3.4m/s$를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기록을 보인 S2는 투사높이는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투사속도는 다른 선수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릴리즈시의 전경각에서 S2는 85도로 적절한 자세를 취하고 있으나, S1은 72.4도로 너무 자세를 낮추어 창의 릴리즈 속도 증가를 방해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투사순간의 신체분절속도에서 S2의 경우 타선수에 비해 신체중심과 상완, 전완의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으나, S1과 S3는 투사속도와 직접관련이 있는 전완의 속도를 좀더 증가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동작 수행시간에서 S2는 0.30초로 다른 선수에 비해 소요시간이 가장 빠르게 나타나 있고, 전체적으로 투사구간의 소요시간이 짧을수록 투사거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1과 S3는 투사시간을 단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론에 의하면, 앞으로 투창 동작시 선수 및 지도자들은 크로스 오버하여 지지발을 축으로 하여 투창이 투사될 때까지 적절한 상체각도, 고관절각도, 무릎각도 유지 및 투사시 창의 투사각도와 투사높이, 투사속도를 적절히 조절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instruct athletes through the analysis athletes' movement in javelin. Three athletes in the level of national representativ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analyzed kinematic variables(lead foot and releasing javelin) through 3-D analysi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During withdrawal, it is important to maintain of running horizontal velocity. 2. It was showed that throng average height was $84{\pm}3.3%$ and javelin adequative degree, Among the athletes, $S_2$ who had the best record was released the javelin with the fast velocity, but throw the javelin with the less releasing velocity. 3. $S_2$ released after lead foot were completely landed and therefore it is no problem in a kinematic aspect. However, $S_1$ angle was too small. it caused increase of release velocity to be prevented. 4. $S_2$ showing the best result indicated shorter in duration time. Generally, the shorter duration time in release phase showed the longer release distance. Especially $S_1$ and $S_3$ showing the worse result indicated the longer duration time in preparatory phase, causing the breakup of force. Therefore to improve the record, it should be decreased the duration time in preparatory phase. 5. Compared with $S_1$ and $S_3$, $S_2$ showing the best record indicated the higher velocity in center of mass, trunk, upper arm, lower arm and hand That is the higher velocity of upper arm at release leaded the better velocity transfer from upper arm to following lower arm and hand, these acti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helpful of better record. According to the above conclusion, when the athletic leaders cauch athletes, they should focus on maintaining knee angle, upper body and hip angle in a previous stage of release and throwing angle, throwing height, throwing velocity in a release stag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서울산업대학교

참고문헌

  1. 권영후 (1994). KWON3D motion analysis package version 2.1.
  2. 김순윤 (1993). 창던지기 상지의 운동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영윤(1992). 창던지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찬희외 2인 (1995).육상경기지도서. 세종출판사.
  5. 백진호외 1인 (2001). 여자 창던지기 경기시 투사구간의 운동학적특성. 한국체육학회지. 40(2), pp.853-860.
  6. 서학용 (1989). 투창에서 도움닫기 거리가 투척동작과 투척거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신성휴(1983). 창던지기의 운동학적 분석. 스포츠 과학 연구보고서 Vol. 20, No. 1 pp.163-170.
  8. 양동영, 조필환, 정남주(2002). 남자 창던지기 경기의 투사구간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1(3), pp.565-572.
  9. 윤희중, 홍순모, 김태삼(2000). 여자 창던지기 선수들의 운동학적 분석. 제38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pp.798-811.
  10. 이종훈외 2인.(2000). 창던지기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제4호.
  11. 이종훈(2001). 여자 창던지기 동작의 Kinematic적 요인분석. 한국학교체육학회. 제11권 1호.
  12. 진성태(1984). 던지기동작에 각 신체분절의 역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최규정외 5인. (1986). 국가대표 투창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생체 역학적 고찰. 대한 체육회 스포츠 과학 연구소.
  14. Attig.(1973). Converting Approach Veocity into Throwin Velocity-Javlin. Track & Field Quarterly Review, Vol 81:1
  15. Best, RJ., Bartlett RM, Morriss CJ.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javelin throwing technique. J Sp rt Sci 1993; 11: pp.315-28 https://doi.org/10.1080/02640419308730001
  16. Cooper, L., Dalzell, D. & Silverman, E.(1959). Flight of Discus. Division of Engineering Science, Purdue University.
  17. Gregor, R. J, & Pink M.(1985). Biomechanical analysis of a world record javelin throw: A cas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1: pp.73-77. https://doi.org/10.1123/ijsb.1.1.73
  18. Hay, J. G.(1978). The biomechanics of sport techniques(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 Ikegami, Y., Miura, M., Matsui, H.& Hashimoto. I. (1981),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javelin throw. Biomechanicas VII-B, pp.71-276.
  20. Juris Terauds, (1978). Computerized biomechanical analysis of selected javelin throwers at the 1976.
  21. Komi, P. V. and Mero A. (1985) Biomechanical analysis of olympic the javelin throwers, International Jr. of Sports biomechanics Vol. 1, No. 2, pp.139-150. https://doi.org/10.1123/ijsb.1.2.139
  22. McCloy, R. W., Gregor, R.J. Whiting, W.C., Rich, R. G. & Ward, P.E.(1984). Kinematic analysis of elite shotputters. Track & Technique.
  23. Mero, A., Komi, P.V., Kotjus, T., Navarro, E., & Gregor, R.G.(1994). Body segment contributions to javelin throwing during final thrust phase.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10, pp.166-179 https://doi.org/10.1123/jab.10.2.166
  24. Miller, D. I. & Munro, C.F. (1983). Javelin position and velocity patterns during final foot plant preceding release.Journal of Human Movement Studies, 9: pp.1-20.

피인용 문헌

  1. The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he Upper Body's Segments of the Elderly during Walking vol.14, pp.3, 2004, https://doi.org/10.5103/KJSB.2004.14.3.001
  2. The Kinematic Analysis of Cross Over Step and Delivery Phase in Female Javelin Throwing Players vol.14, pp.3, 2004, https://doi.org/10.5103/KJSB.2004.14.3.149
  3.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Last Stride landing and Release Phase in the Women Javelin vol.14, pp.1, 2004, https://doi.org/10.5103/KJSB.2004.14.1.051
  4. Three-dimensional Comparison of Selected Kinematics between Female Medalists and Korean Female Javelin Thrower at IAAF World Championships, Daegu 2011 vol.21, pp.5, 2011, https://doi.org/10.5103/KJSB.2011.21.5.661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and Release Parameters in Korean Female Javelin Throwers vol.22, pp.2, 2012, https://doi.org/10.5103/KJSB.2012.22.2.131
  6. Kinematical Analysis of Projection Factors to Record Difference dur ing Women's Javelin Throwing vol.20, pp.4, 2010, https://doi.org/10.5103/KJSB.2010.20.4.457
  7. Three-dimensional Comparison of Selected Kinematics between Male Medalists and Korean Male Javelin Thrower at the IAAF World Championships, Daegu 2011 vol.21, pp.5, 2011, https://doi.org/10.5103/KJSB.2011.21.5.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