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웹기반 운동역학 수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Web-based Sports Biomechanics Class

  • 이기광 (인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사회체육학과)
  • Lee, Ki-Kwang (Dept.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Natural science, Inje University)
  • 투고 : 2002.11.08
  • 발행 : 2002.08.30

초록

웹기반 운동역학 수업 모형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하여 2002년 5월 현재, 각종 인터넷 검색엔진을 통해 국내외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30개의 운동역학 강의 사이트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사이트의 접근성 및 개방성, 강의의 구성요소 및 기능, 수업용 소프트웨어의 활용 등으로 구분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한 후, 효과적인 웹기반 운동역학 수업 모형 개발을 위한 방안을 항목별로 제시하였다. 30개의 사이트 중에서 패스워드를 요구하는 사이트는 단 1곳으로서 대부분의 가상강의가 개방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사이버 강의의 핵심요소인 강의노트를 제공하고 있는 사이트는 17개(57%)로 나타났으며, 강의노트파일의 형식은 PDF 형식이 10개(59%), HTML 형식은 5개(29%), PPT 형식은 2개(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웹상에서 과제물을 부여하는 사이트와 성적을 게시하는 사이트는 각각 14개(47%)로 나타났다. 웹상에서 수업자료를 직접 또는 링크의 형태로 제공하는 사이트는 11개(37%)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게시판이 웹상에서 제공되는 사이트는 단지 4개(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역학 실험용 웹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사이트 역시 4개(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의 결과를 토대로 홈페이지 설계, 강의노트, 수업 참여도 측정, 공동연구 시스템 구축, 운동역학 실험용 웹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항목별로 효과적인 웹기반 운동역학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o provide a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sport biomechanics class in undergraduate program, thirty web sites, searched via search engines in May 2002, were analyzed intensively. In terms of requirement of log-in, only one site of 30 sites required user name and password. Seventeen(57%) sites provided the lecture note, which had various file formats such as 59% if PDF, 29% of HTML, and 12% of PPT. Fourteen(47%) sites provided the assignment and grade information on web. Eleven(37%) sites provided various resource and links which were related in sports biomechanics. Only four(13%) sites provided discussion or online digitizing or kinematic analysis program. Based on above results, a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a virtual classroom for college level sport biomechanics. A web-based sport biomechanics class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of several functions as follows; homepage design, lecture note, measurement of class attendance, collaborative research system, and web-bas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oftware for biomechanics laborator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애(1996).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한 수업과 구성주의: 교육적 활용과 의미, 정보과학회지, 14(12), pp.15-29.
  2. 나일주(1999). 웹기반 교육. 교육과학사.
  3. 박성순, 김성규, 김우분(1996).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가상대학의 구축. 정보과학회지, 14(12), pp.5-14.
  4. 박인우(1997). 학교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 교수원리의 실현매체로서의 인터넷 고찰, http://203.241.14.210/dataroom/internet.htm.
  5. 조명현(2002). 조명현의 디지털금융산책(8); 초고속인터넷 시대, 디지털 타임즈, 11월 12일.
  6. Duffy, T. & Jonassen, D.(1991). Constructivism: new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technology, Educational Technology, 31(5), pp.7-11.
  7. Honey, M. & Hawkins, J.(1996). Digital archives: Creating effective design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ors, http://www.ed.gov/Techonology/Futures/honev.h.
  8. Kahn, B.(1997). Web-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J: ET Publication.
  9. Kearsley, G., Lynch, W. & Wizer, D.(1995). The effectiveness and impact of online learning in graduate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35(11), pp.37-42.
  10. Klemm, W. & Snell, J.(1996). Enriching computer-mediated group learning by coupling constructivism with collaborative learning, http://www.usq.edu.au/electpub.e~ji.
  11. Maly, K. et al.(1997).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over intranets, IEEE Internet Computing Magazine, 1(1), pp.60-71. https://doi.org/10.1109/4236.585174
  12. Slatin, J. M.(1991). Is there a class in this text? Creating knowledge in the electronic classroom, Ed. E. B. Sociomedia, pp.27-52.
  13. Spiro, R. & Feltovich, P.(1991). Cognitive flexibility, constructivism, and hypertext, Educational Technology, 31(5), pp.2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