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iomechanics analysis by golf drive swing pattern

골프 드라이브 스윙시 구질 변화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 Choi, Sung-Jin (Dept. of Physical Education Kyung Sung University) ;
  • Park, Jong-Jin (Dept. of Physical Education Kyung Sung University) ;
  • Yang, Dong-Ho (Graduate Student Dept. of Physical Education Kyung Sung University)
  • 최성진 (경성대학교 예술대학 체육학과 역학실) ;
  • 박종진 (경성대학교 예술대학 체육학과) ;
  • 양동호 (경성대학교 예술대학 체육학과 역학실)
  • Received : 2002.11.08
  • Published : 2002.08.30

Abstract

This study divided straight success, pade success and failure with 7male golfers who have experiences more than 3 years, analyzed kinematic factors of golf swing to suggest scientifically. The conclusions were follows. 1) The wrist angle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aight success, pade success and failure when swing of every patter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de success and failure. 2) The body twist angl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aight success, pade success and failure when swing of every patter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de success and failure. 3) The shoulder joint rotation angl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pade success and failure when swing of every patter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de success and failure. 4) The left hip joint vertical angl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aight success, pade success and failure when swing of every patter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de success and failure. 5) The hip joint rotation angl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aight success, pade success and failure when swing of every patter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de success and failure. 6) The trunk angl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aight success, pade success and failure when swing of every patter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de success and failure. 7 )The left knee joint angl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aight success, pade success and failure when swing of every patter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de success and failure. This study divided golf swing motion of pattern change in straight success, pade success and failure and analyzed the kinematic factors by 3-dimension cinematography to improve performance. In the future, many researchers have to study kinematic analysis to improve performance in every events.

본 연구에서는 볼 구질의 변화에 따른 스윙 동작의 운동학적인 변인을 3차원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스윙 동작의 운동역학적인 원리를 제시하며, 볼 구질이 다른 스윙 동작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으며, 프로골퍼로 경력 3년 이상의 남자 선수 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이트 성공, 페이드 성공과 실패로 구분하여 골프 스윙의 운동학적 변인들을 과학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페이드 성공시에는 임팩트를 지나서도 계속 손목의 각도가 근소한 차이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패시에는 각 프레임의 각도가 규칙적으로 변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이트 성공과 페이드 성공에 대한 손목각도의 차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요인과 손목각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페이드 실패의 경우는 임팩트시의 몸통 비틀림각도가 성공때 보다 작아지면서 클럽헤드가 오픈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스윙의 형태의 변화로 인하여 어깨관절의 회전력을 더 많이 사용하여 파워을 증진시키기 위한 동작이며, 골프 스윙에서 어깨회전 운동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어깨회전각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이트 성공시 보다 페이드 성공시에 고관절의 회전각도가 점진적으로 일정하게 각이 커졌다. 이는 고관절의 회전을 더 크게 하여 지연히팅을 보다 자연스럽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드 볼 구사시 임팩트 존에서 클럽의 페이스가 닫히는 것과 팔의 자연스러운 롤링 동작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구질 변화에 따른 골프 스윙 동작을 스트레이트 성공, 페이드 성공과 실패시로 구분하여 운동학적 변인들을 3차원 동작 분석을 통하여 경기력 향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각 종목에 있어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역학적인 분석이 계속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봉한(1991). 3분절 개연쇄 골프스윙동작의 3차원 분절운동에 관한 생체역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김무영(1998). 우수골퍼와 초보자의 스윙동작에 관한 3차원 영상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8(1), pp.127-154
  3. 유재청(1991). 골프 스윙시 신체 분절의 기여도 및 지면 반력에 관한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윤재백(1992). 골프 스윙시 숙련자와 비숙련자 간의 운동학적 변인 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임태상(1996). 골프 드라이버와 아이언 스윙 동작의 운동학적 변인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이기태, 강민식(1997). 골프스윙동작의 운동역학적 코우칭 모델. 한국 운동역학회지 7(1), pp.19-34.
  7. 조수현(1990). 골프스윙의 운동학적 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황인승 외 3인(1990). 골프스윙의 운동학적 분석. 체육과학논총. 1(4).
  9. Cambell, K. R. & Reid, R. E.(1985). The application of optimal control theory to simplified model of complex human motion : The golf swing, Biomechanics, 5B, pp.527-532
  10. Carlsoo, S.(1967). A Kinetic analysis of the golf swing, Journal of sports medicine, 7, pp.66-72
  11. Cochran, A. & J, stoobbs(1968). The search for the perfect swing, J. B. Lippincott, Philadelphia.
  12. Hay, J.G.(1985). The Biomechanics of Sports Techniques. Englewood Cliffs, New Jursey : prentice-Hall Inc.
  13. Jorgensen, T.(1970). On the dynamics of the swing of a golf club, American Journal of Physis, 38(5), pp.644-651 https://doi.org/10.1119/1.1976419
  14. Milburn, P. D.(1982). Summation of segmental velocities in the golf sw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4(1), pp.60-64 https://doi.org/10.1249/00005768-198201000-00012
  15. Neal, R. T. & B. D, Wilson.(1985). 3-D Kinematics and kinetics of the golf swing, IJSB, 1, pp.221-232
  16. Williams, D. L.(1967). The dynamic of the golf swing, Quarterly Journal of Mechanics and Applied Mathematics, 20(2), pp.247-264 https://doi.org/10.1093/qjmam/20.2.247
  17. Vaughan, C. L.(1981).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forces and torque applied by a golfer during the downswing, Biomechanics, 7B, pp.325-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