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Kinematical Analysis of Mae-ukemi (forward breakfall) in Judo

유도전방낙법의 운동학적 특성 분석[I]

  • Kim, Eui-Hwan (Yong-In University College of Martial Arts Dept. of Judo. Sports Biomechanics Lab.) ;
  • Kim, Ji-Tae (Mokwon University)
  • 김의환 (용인대학교 무도대학 유도학과) ;
  • 김지태 (목원대학교 측정평가실)
  • Received : 2002.11.08
  • Published : 2002.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inematic variables of a Mae-ukemi (forward breakfall :MU) in Judo through 3-D image analysis with five Judoka with over 2 years' career (2nd dan, 3rd dan). The kinematic variables include posture, and distance variables; the mean value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variable were obtained to analyze kinematic variables of a MU in Judo. From the data analysis and discuss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1) Posture variables : The angles of wrists during right before Mae-ukemi (RBU) were extended from the just MU position(MUP) and flexed from in the right after MU(RAU),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splacement between the angles of the right and left wrists. The angles of elbows were flexed in the ready position from in the RAU. The angles of ankles were flexed from the ready position to that down position, extended from the down position to that transition, and flexed from the transition positiont to that RAU. 2) Distance variables : The distance height between the mat and shoulders in the RBU(32.2cm) to in the MUP(18.3cm) and in the RAU(20.5cm). during that height between the mat and hips in the RBU(48.0cm) to in the MUP(23.4cm), and in the RAU(30.6cm).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도 경력이 2년(2~3단) 이상인 유단자 5명을 대상으로 전방낙법 동작시 3차원 영상 분석법을 이용하여 운동학적 변인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운동학적 변인은 시간 거리 변인들이었으며, 각 변인별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하여 유도 전방낙법 동작의 운동학적 변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방낙법 동작시 손목각은 낙법직전자세에서 낙법자세까지는 신전되었고, 낙법자세에서 낙법직후자세까지는 굴곡되는 패턴을 보였으며 손목의 좌 우각은 변위차이를 보였다. 팔꿈치각은 준비자세에서 낙법직후자세까지 굴곡되는 패턴이었고, 발목각은 준비자세에서 반동자세까지는 굴곡되었으며 점핑자세에서 변환자세까지 신전, 낙법직전자세와 낙법직후자세에서는 굴곡 패턴이었다. 매트와 어깨와의 거리(높이)는 낙법직전자세에서 32.2cm, 낙법자세에서는 18.3cm, 낙법직후자세에서는 20.5cm 이었다. 매트와 엉덩이와의 거리(높이)는 낙법직전자세에서 48.0cm, 낙법자세에서는 23.4cm, 낙법직후자세에서 30.6cm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중천(1986). 유도 낙법의 운동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사범대학 교육대학원.
  2. 김상철(2000). 유도론. 서울 : 교학연구사.
  3. 김상철․김의환(1991). 유도 한팔업어치기의 KINEMATIC분석. 무도 연구소지 제3집, pp.117-145, 경기 :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4. 김의환(1988a). 유도의 외깃 업어치기의 생체역학적 분석. 스포츠과학정보 제2호, pp.1-20, 서울 : 대한체육회 훈련원 스포츠과학연구소.
  5. 김의환(1988b). 유도의 한팔업어치기의 생체역학적분석사례. 스포츠과정보 제2호, pp.42-64, 서울 : 대한체육회훈련원 스포츠과학연구소.
  6. 김의환(1988c). 유도의 경기력 요인. 1988년 제 13회 유도과학세미나.
  7. 김의환(1991). 유도경기훈련지도서. 서울 : 한국체육과학연구원.
  8. 김의환(1995). 유도메치기 기술의 생체역학적 분석을 통한 유도인형의 유용성 평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의환(1999). 유도낙법의 비밀. KBS : TV-스포츠는 과학이다.
  10. 남용(1998). 유도교본. 서울 : 스포츠서적편집실.
  11. 박춘자(1989). 현대유도교본. 서울 : 진활당.
  12. 박태춘(2001). 유도 후방낙법의 운동학적 특성 분석.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용인대학교유도학과교수(1995). 유도지도법. 용인 : 용인대학교 출판부.
  14. 이긍세(1983). 유도의 코우칭. 서울 : 대한체육회 스포츠과학연구소.
  15. 이성우(1999). 최신 유도기법. 서울 : 서림문화사.
  16. 이제황(1976). 신유도. 서울 : 수상계사.
  17. 정철정 외 8인(1997). 인체운동의 제어와 생체역학. 서울 : 도서출판 홍경.
  18. 한국체육과학연구원(1997). 1급 경지지도자 연수교재(스포츠생체역학II). 서울 : 동원사.
  19. 채중겸(1992). 학교유도. 서울 : 삼일당.
  20. 竹內善德, 手塚政孝, 彩山重利, 高橋邦郎(1984). 論說 柔道. pp.127-164, 동경 : 不味堂出版.
  21. Abdei-Aziz, Y.I. & Kara, H.m.(1971).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from comparator coordinates into object coordinates in close-range photogrammetry, Proceedings of ASP/UI Symposium.
  22. IJF(1992). Composition of judo techniques. Intenational Judo Federation.
  23. Kwon,Y.H.(1993). Kwon3D. Film Motion Analyssis Package Ver 2.1.
  24. Lee, Keung-Seh and Eui-Hawn Kim(1986). A Biomechanical Analysis of Osotogari in Korean Representative Judo Contestants. Asian Games Scientific Congres Abstracts SOSCOC.
  25. Oimatsu, Shinichi(1984). The way of of Seiroku Zenyo. Jita Kyoei and it instruction. Bulletin of the Association for the Scientific Studies Judo Kodokan Report IV: 3-8. Tokyo : kodokan.
  26. Plagenhoef, S.C., Evans, F. G. and Abdelnour, T.(1983). Anatomical Data for Analyzing Human Motion. Resea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