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리듬체조 Ring jump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Analysis of Kinematic on Ring jump in the Rhythmic Sport Gymnastics

  • 우병훈 (한양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기능학 실험실) ;
  • 인희교 (한양대학교(안산캠퍼스) 생활과학체육대학 생활스포츠학부 대학원) ;
  • 이계산 (관동대학교(강릉캠퍼스)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Woo, Byung-Hoon (The Researoh Institute for Hanyang University(Seoul Campus)) ;
  • In, Hee-Kyo (Hanyang University(Ansan Campus)) ;
  • Lee, Kae-San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dept. of Physical Education)
  • 투고 : 2002.11.10
  • 발행 : 2002.08.30

초록

본 연구는 리듬체조를 구성하는 기술 중에서 신체 기본요소군의 Jump에 포함되는 C난도 Ring jump의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선수들의 기술향상과 지도에 필요한 정량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벤트별 소요시간에서는 E-3에서 0.409${\pm}$0.017sec로 가장 긴 소요시간을 보였다. 신체중심의 변위에서는 E-3에서 88.5${\pm}$1.3%로 가장 높은 높이를 보였다. 좌 우 발끝 속도에서는 E-2에서 각각 732.4${\pm}$46.1cm/sec, 1958.4${\pm}$25.1cm/sec로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상체후경각에서는 E-3에서 97.8degree로 가장 낮은 각도를 보였다. 슬관절 각변위에서는 E-3에서 좌 우 각각 92.8${\pm}$14.9degree, 69.2${\pm}$5.7degree로 가장 낮은 각도를 보였다. 족관절 각변위에서는 E-3에서 좌 우 각각 171.3${\pm}$6.9degree, 167.9${\pm}$8.4degree로 가장 큰 각도를 보였다. 이런 결과로 볼 때, Ring jump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족관절의 신전을 통한 높은 점프로 상체를 후경할 수 있는 유연성과 체공을 시간을 갖추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study has a goal that produces abundant documents that needed for athletes to teach and progress skills by analyzing 3-dimensional action analysis of C-difficulties Ring jump included in body original elements among techniques constructing Rhythmic Sport Gymnastics. 1. It was the longest applied time delay that E-3 indicates 0.409${\pm}$0.017sec in each event applied time delay. 2. It was the tallest height that E-3 indicates 88.5${\pm}$1.3% in displacement of body's center. 3. It was the fastest velocity in E-2 where the velocity of left foot is 732.4${\pm}$46.1cm/sec, the velocity of right foot is 1958.4${\pm}$25.1cm/sec. 4. the lowest angle was founded at 97.8 degree in the E-3 on the trunk extension angle. 5. The lowest angle of both sides were seen at 92.8${\pm}$14.9degree and 69.2${\pm}$5.7degree in the E-3 on the each displacement of knee joint. 6. The highest angle of both sides were seen at 171.3${\pm}$6.9degree and 167.9${\pm}$8.4degree in the E-3 on the each displacement of ankle joint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by jumping with ankle joint extension to accomplish the Ring jump action, it is considered to have the time of flexiblity and staying in the air which we can see in a back.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지영(1987). 리듬체조 Leap동작 분석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박정민(1996). 리듬체조 Illusions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서세미(2000). 리듬체조 Ring Split Leap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인희교(1997). 리듬체조 Double pivot attitude동작의 운동학적 분석.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임용규․하철수(1993). 기능학. 대한미디어
  6. Adrian & cooper(1989) The Biomechnics of Human Movement. Indianapolis, Indiana: Benchmark Press.
  7. F.I.G 2001 Code of Point - Technical Committee for Competitive Rhythmic Sportive Gymna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