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경제위기 이후 경제재구조화와 지역격차

Economic Restructuring and Regional Disparity after the IMF Crisis in Korea

  • Yim, Seok-Hoi (Division of Social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Daegu University)
  • 발행 : 2002.12.30

초록

IMF 경제위기는 한국의 사회 경제에 큰 충격을 주었다. 경제위기가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빠르게 극복은 되었으나 그 충격은 여전하다. 특히 경제회복의 속도가 지역 간에 다르게 전개되면서 종전의 지역격차가 더욱 심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 논문은 지역불균등 발전의 관점에서 IMF 경제위기 이후 경제계구조화와 지역격차의 문제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은 경제위기 상태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복하였으며 활발한 경제활동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수도권 이외의 다른 지역은 경제침체 상태가 상당히 오랜 기간 지속되었으며 구조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예외적으로 대전의 생산활동이 다른 지역에 비해 안정적이다. 이러한 지역 간의 차별화는 각 지역의 경제구조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의 지역격차는 1960년대 이후 지속된 지역불균등 발전의 결과이며, 특히 1990년대 초부터 진행된 포디즘에서 포스트 포디즘으로의 전환에 따른 공간적 재편성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IMF 경제위기는 그러한 공간적 재편성을 강화하고 여전히 포디즘적 생산체계에 의존하는 지역을 강타하였으며, 최근 지역격차의 심화는 그 결과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cent economic restructuring and regional disparity after the IMF crisis in Korea in terms of uneven regional development. The so-called IMF crisis brought about changing Korean society and economy greatly. Although the Korean economy has been almost completely recovered from the IMF crisis, some structural problems remain. In particular, regional disparity has been deepening in the process of economic restructuring for overcoming the IMF crisis. Whil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Kyunggi province has recovered from the crisis relatively fast and industrial production in the area has been kept active, the productive activities of local areas such as Pusan, Taegu, Kwanju and Ulsan province have shrunk significantly. On the contrary, the economic situation of Taejun province is not so bad in comparison with other local areas. The recent deepening of regional disparity after the IMF crisis can be seen as a process of economic restructuring to overcome the crisi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at production system has already been gradually transformed from Fordism toward post-Fordism since the early 1990s. In this context I argue that the IMF crisis, as an accelerating trigger of such spatial reconfiguration, has deepen regional dispar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