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Effective Rainfall Mapping using Landsat TM Data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와 유효우량도의 작성

  • 신사철 (안동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권기량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소) ;
  • 김성준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Accurate and real time forecasting of runoff has a high priority in the drainage basins prone to short, high intensity rainfall events causing flash floods. To take into account the resolution of hydrological variables within a drainage basin, use of distributed system models is preferred. The Landsat Thematic Mapper(TM) observations enable detailed information on distribution of land cover and other related factors within a drainage basin and permit the use of distributed system models. This paper describes monitoring technique of rainfall excess by SCS curve number method. The time series maps of rainfall excess were generated for all the storm events to show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excess within study basin. A combination of the time series maps of rainfall excess with a flow routing technique would simulate the flow hydrograph at the drainage basin outlet.

유출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예측은 수문 및 수자원 분야에 있어서 궁극적인 목표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와 같이 강우에 대한 유출의 응답이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경우에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토지이용변화 등에 의한 유출의 변화 및 감시를 포함하는 유역내의 수문 변수의 변화를 적절하게 고려할 수 있는 분포형 자료를 선호하게 된다. 이때 분포형 모형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강우의 공간특성을 알아야 하며, 각 격자별 강우량이 입력자료로 활용되어 각 격자별 유출특성을 파악하게 된다.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할 경우 분포형 모형을 위한 유역 내에 관련된 인자 및 식생, 토지피복 등의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CS의 유출곡선번호(CN)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여 유효우량도를 작성하여 신속하게 유출의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호우시에 있어서 유효우량에 대한 시계열 자료는 본 기법을 통하여 분포형태로서 계산i과 수 있으며, 이 결과는 분포형 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유역 출구에서의 수문곡선을 산정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탁, 심명필, 선우중호 (1999). '미계측 유역의 유출모의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응용(I) :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선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2권, 제2호, pp. 163-176
  2. 박병욱 (1996). '수치위성자료를 이용한 광역의 토지피복분류 기법.' 한국측지학회지, 제14권 제1호, pp. 39-47
  3. 윤태훈 (1991). '유효우량산정을 위한 곡선번호 방법의 적용성.' 한국수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 97-108
  4. 임상준. 박승우 (1997). '논의 유출곡선번호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0권, 제4호, pp. 379-387
  5. 조홍제, 김정식 (1997). 'TIN을 이용한 SCS법에 의한 유효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0권, 제4호, pp. 357-366
  6. 최승필, 홍성태, 박재훈 (1993). 'Landsat TM자료를 이용한 임종구분에 관한 연구.' 한국측지학회지, 제 11권, 제 1호, pp.50-60
  7. 한국수자원공사 (1995). 임진강 유역조사 보고서
  8. 한국수자원공사 (2000). 수자원관련 공간정보 분석 및 적용에 관한 연구
  9. 환경부 (1999).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환경정책평가연구원
  10. Congalton, R.G., R.G. Oderwald, and R.A. Mead, (1983). 'Assessing Landsat Classification Accuracy Using Discrete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49, No. 12, pp.1671-1678
  11. Jenson, John R. (1995). Ind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Prentice Hall Series in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Prentice Hall
  12. Lillesand, Thomas M. and Kiefer, Ralph W. (1994).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John Willey and sons
  13. Sharma, K.D., Menenti, M., Huygen, J., and Fernandez, P.C. (1996), 'Distributed Modelling of Surface Runoff in an Arid Region using Thematic Mapper Data and GIS', proc. of the Int. Conf. on Water Resour. & Environ Res., Japan
  14. Story,M., and R.G. Congalton (1986). 'Accuracy Assessment: A User's Perspective,'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52, No.3, pp.397-399

Cited by

  1. An Offer of a Procedure Calculating Hourly Rainfall Excess by Use of Horton Infiltration Model in a Basin vol.43, pp.6, 2010, https://doi.org/10.3741/JKWRA.2010.43.6.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