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n Internet-Based Medical Diagnosis System

인터넷 기반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개발

  • 이경태 (강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
  • 임형주 (강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
  • 김상욱 (강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
  • 안윤호 ((주)엑스레이21) ;
  • 윤여동 ((주)엑스레이21)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Radiologic images are widely used in hospital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patients' diseases. The radiologist accurately reads radiologic images, and thus helps diagnose patients correctly. The number of radiologists is much smaller than is necessary, however. In some small or rural hospitals, there are no radiologists residing there. In these cases, correct diagnosis and treatment are infeasible. Also, radiologists are not resident at hospitals all day long. Thus, emergency patients would suffer from the absence of radiologists at night. XRay21 Inc. and Data & Knowledge Engineering Lab.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ave been working together since 2000 in order to alleviate the problems above. Currently, the advances of the computer and network technology make it possible to connect a lot of radiologists and hospitals together through the Internet. By fully utilizing the Internet environment, we have developed an Internet-based medical diagnosis system, thus permitting remote diagnosis of radiologic images. This paper presents the technical experiences obtained in developing the system.

현대 의학에서 방사선 이미지는 환자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된다. 방사선 전문의는 이미지를 정확하게 판독하고, 이를 토대로 환자를 올바르게 진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병원에는 방사선 전문의의 수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특히, 규모가 작거나 외진 곳에 위치한 병원에서는 방사선 전문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환자에 대한 올바른 진단이 거의 불가능해 진다. 또한, 방사선 전문의가 24시간 내내 상주하지 않으므로 야간의 응급환자의 경우 방사선 전문의의 부재로 인하여 매우 어려운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 (주)엑스레이21과 강원대학교 데이터및지식공학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공동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많은 방사선 전문의들과 많은 병원들을 인터넷을 통하여 하나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이러한 인터넷 환경을 활용함으로써 본 공동 연구에서는 방사선 이미지의 원격 진단을 위한 인터넷 기반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획득한 다양한 기술적 경험들에 관하여 논의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