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rvation of Fish Community by the Construction of the Tamjin Dam

탐진댐 건설에 따른 어류군집 보전방안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amjin Dam is built in the upper reaches of the Tamjin River which flows through the Janghung-gun and Gangjin-gun of the Jeollanamdo, Korea. In order to map out a preservation strategy of the fish community from dam construction, We studied the distribution of fish distribution and changes of the habitat environment. we found 49 fish species inhabiting in the downstream and upstream of the Tamjin Dam. Among them, migratory fish were two species sweet smelt, Plecoglossus altivelis and freshwater eel, Anguilla japonica. The Coreoperca kawamebari which designated as a species to be prote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was also observed. After the dam construction, reservoir would be filled with water and running water system will change to standing water system. Then the habitat and spawning space for mountain torrent fish will be reduced and the migration of migratory fish to upstream will be blocked. Through our study, we proposed several ways to protect fish community. In order to preserve the reduced habitat and spawning area of mountain torrent fish, a fishway has been diagnosed to be built in the shallow reservoir in the entrance of the upriver. The establishment of artificial spawning ground on the riverside has been recommended. In addition, We propose a creation of a shelter for fresh water eel, Anguilla japonica in areas where the depth of the water is about l0m by laying rocks. Since it is difficult for a spawning ground to be formed naturally in the reservoir due to the year-round changes in water level, We suggested a floating spawning facility using an artificial fixture.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a waterway-style habitat and spawning ground in the river and increasing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fish fauna in the Tamjin River. A low-cost and highly efficient operational fishway has been recommended so that migratory fish such as Plecoglossus altivelis (sweetfish) can migrate from the lower reaches to the upper reaches of the river.

탐진댐은 전라남도 장흥군과 강진군을 흐르는 탐진강 상류에 건설되는 댐으로서 댐 건설에 따른 어류의 서식환경에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전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어류분포, 서식환경을 조사하였다. 탐진강에는 댐 건설지 상 ${\cdot}$ 하류에서 총 49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어종으로는 바다와 담수를 왕래하는 회유어로 은어와 뱀장어가 조사되었으며, 환경부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는 꺽저기가 조사되었다. 댐이 건설되면 저수지가 담수됨에 따라 유수환경에서 저수환경으로 변화됨으로서 계류어의 서식 ${\cdot}$ 산란 공간이 감소하게 되며, 소상어류의 회유가 차단되게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처하여 어류를 보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수지 상류의 유입부에는 감소된 계류어의 서식 ${\cdot}$ 산란처를 보완하기 위하여 소규모 보에 어도를 시설하고, 수변공간 조성 및 인공의 부유산란장을 시설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심이 약 l0m 내외의 장소에는 돌무덤을 조성하여 뱀장어의 서식처를 조성하도록 하였다. 저수지 내에는 연중 수위변동으로 수변부 산란처의 자연적인 조성이 어려우므로.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부유식 산란시설을 계획하였다. 댐 하류에는 하천의 감소된 서식 ${\cdot}$ 산란처 조성 및 탐진강 서식 어류의 종 다양성 및 풍부성을 유도하기위한 수로형 서식 ${\cdot}$ 산란처를 조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은어 등의 회유성 어류가 하류 하천에서 상류 저수지로 회유할 수 있도록 저비용 고효율의 조작식 어도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ley
  2. 김익수. 1980. 한국산 기름종개속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익수. 1985. 한국산 잉어과 (Cyprinidae) 어류의 검색과 분포. 호림수산양식개발연구소보 9: 45-61
  4. 김익수, 이금영, 양서영. 1985. 한국산 황어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8: 381-400
  5. 김익수. 1988. 한국산 골표 상목과 극기 상목 어류의 분류. 생물학연구연보 8: 1-173
  6.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1999. 우리나라 어도의 현황과 이용에 관한 연구. 농어촌진흥공사
  7. 박상덕. 1998. 동해안 지역 어도시설 및 관리. 한국수자원학회지 31: 28-33
  8. 최기철. 1991. 민물고기를 찾아서. 270 pp. 한길사
  9. 최기철. 1994. 우리민물고기 백가지. 322 pp. 현암사
  10.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소. 2000. 대댐에서의 어족보호방안연구. 한국수자원공사
  11. 황종서, 김미옥. 1991. 담수호의 어도 이용에 관한 연구. 178pp. 농어촌연구원
  12. 황종서. 1996. 하구의 어도 현황과 이용. 농공기술 50: 109-118
  13. 寺菌勝二, 赤尾恒博, 山崎典和. 1996. ダム漁道の現狀と今後の方響性. ダム技術 No. 119: 5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