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ish Fauna and its Community Stucture in the Nam River, Nakdong River System, Korea

남강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 Yang, Hong-Jun (Department of Biological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 ;
  • Kum, Ji-Don (Department of Biological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
  • 양홍준 (경북대학교 생물교육과) ;
  • 금지돈 (경북대학교 생물교육과)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e fish fauna and Community were surveyed from April 2000 to September 2001 at 23 stations in the nam river, the first tributary located to the lower reach of the Nakdong River system. During the study period, 39 species belonging to 29 genera and 11 families were collected. Of which 14 species are endemic species or subspecies in Korea. Introduced species from other river system, O. bidens had not been collected at all after the report of Yang (1973) but many individuals were captured at main stream and tributary in this survey. Introduced species from abroad M. salmoides increased at most of stations. Dominant species in main stream were Z. platypus, O. bidens and H. labeo. On the contrary, Z. temmincki, Z. platypus and S. gracilis majimae dominated the tributaries. Diversity indices of main stream and tributaries were 0,979 and 0.966 respectively. St. 3 of main stream and St.1 and 16 of tributaries had high diversity indices (1.05, 0.962, 0.956) and lower dominant indices (0.102, 0.369, 0.200). As a whole, dominant index was 0.160, diversity index 1.044 and evenness index 0.656. It indicated that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is river was stable and diverse relatively.

2000년 4월부터 2001년 9월까지 남강댐 하류의 본류와 유입하천의 어류상 및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채집된 어류는 11과 30속 39종이었으며, 그 중 잉어과 어류가 58.9%, 기름종개과 어류가 12.8%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채집된 종에서 한국 고유종은 R. uyekii, A. koreensis, A. yamatsutae, C. leuciscus, S. chankensis tsuchigae, S. gracilis majimae, S. variegatus wakiyae, M. yaluensis, M. rapidus, k. nakdongensis, N. multifasciata, L. mediadiposalis, C. herzi, O. platycephala의 14종이었다. 본류에서만 채집된 종은 P. esocinus, S. scherzeri, P. altivelis, C. argus의 4종이었으며, 지류에서만 채집된 종은 R. ocellatus, C. splendidus, S. gracilis majimae, H. longirostris, M. yaluensis, M. rapidus, Z. temmincki, M. mizolepis, K. nakdongensis, N. multifasciata, P. fulvidraco, L. mediadiposalis, C. herzi, O. platycephala의 14종이었다. 본류의 다양도 지수는 0.979로 지류의 다양도 지수 0.966보다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류의 St.3과 지류의 St. 1, 16은 조사지역 중에서도 각각 높은 다양도 지수 (1.05, 0.962,0.956)와 낮은 우점도(0.102,0.369,0.200)를 보여 안정된 군집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 및 국내의 다른 수계에서 도입된 종은 M. salmoides, L. macrochirus, O. bidens와 P. fulvidraco의 4종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훈, 금지돈. 2001. 비슬산 생태계조사 보고서. 영남자연생태보존회, 대구시, pp. 156-179
  2. 권오택. 1989. 내성천(낙동강)의 어류상. 경북대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3. 김영호. 1977. 미천산 담수어의 미세분포상에 관하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익수. 1988. 한국 담수산 골표상목과 극기상목 어류의 분류. 전북대 생물학연보. 8: 83-173
  5.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 도감. 제 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pp. 30-629
  6.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477
  7. 김익수, 김환기. 1975. 전주천의 수질오염과 어류군집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8(3/4): 7-14
  8. 김익수, 이금영, 양서영. 1985. 한국산 황어아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8: 381-440
  9. 김익수, 주일영, 고재명. 1980. 낙동강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2.지리산 일대의 계류를 중심으로. 한국육수학회지, 13 (3/4): 25-31
  10. 김재엽. 1985. 감천 (낙동강)의 어류상과 Cyprinidae 어류의 형질조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남명모. 1996. 한국산 담수어류의 현황. ’96 한국육수학회 심포지움, pp. 31-45
  12. 남명모, 김성자. 1997.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대구∙달성, 비슬산 및 그 일대의 담수어류. 환경부, pp. 243-275
  13. 손영목. 1987. 한국산 퉁가리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중앙대 박사학위 논문
  14. 양홍준. 1973. 낙동강산 어류의 조사-목록과 분포에 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6(1/2): 19-36
  15. 양홍준. 1977. 대구근교 신천상류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교육대학원논문집, 8:143-147
  16. 양홍준. 1982. 영남지역(낙동강, 형산강, 태화강)의 잉어과 어류에 관한 연구. 부산박사학위청구 논문, pp. 41
  17. 양홍준, 김구환, 금지돈. 2001. 낙동강하구의 어류상과 댐의 어도에서 어류의 이동. 한국육수학회지, 34: 251-258
  18. 양홍준, 정 준. 1981. 영천 인공 Dam호 예정지의 육수생물학적 연구. 경북대논문집, 31: 249-267
  19. 양홍준, 정 준. 1984. 합천 인공 Dam호 예정지의 육수생물학적 연구. 경북대논문집, 38: 125-141
  20. 양홍준, 채병수. 1993. 금호강수계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I). 한국육수학회지, 26: 1-10
  21. 양홍준, 채병수. 1994. 대구시 주변 하천수계의 수질환경과 육수학적 연구, 금호강수계의 어류상과 군집구조(II), 한국 육수학회지, 27: 177-188
  22. 양홍준, 채병수. 1997a. 남강댐호 유역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5: 175-183
  23. 양홍준, 채병수. 1997b. 안동댐의 파랑볼우럭, Lepomis macrochirus Rafinesque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30: 135-143
  24. 양홍준, 채병수, 남명모. 1997a. 안동댐유역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 347-356
  25. 양홍준, 채병수, 황수옥. 1997b. 임하댐유역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 145-154
  26. 윤희남. 2001. 한국산 피라미속 어류의 서식제한 요인에 관하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이충렬. 1988. 한국산 동자개아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전북대 박사학위 논문
  28. 장민호, 조가익, 주기재. 2001. 낙동강 본류의 어류상, 한국육수학회지, 34: 223-238
  29. 전상린. 1972. 한강유역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과기처보고서, R-72-81.
  30.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157
  31. 전상린. 1982. 동해로 유입되는 소하천 수계의 어류상에 관하여. 자연보존보고서, 4: 231-248
  32. 전상린. 1983.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의 분포와 검색에 관하여, 상명여자대학교 논문집, 11: 289-321
  33. 전상린. 1987a. 낙동강 하류의 어류상에 관하여. 자연보존보고서, 9: 77-90
  34. 전상린. 1987b. 한국산 농어과 주연성 담수어의 검색과 분포. 상명여대논집, 17: 335-355
  35. 전상린. 1995. 한국산 담수어 생물지리 논문집, 상명여자대학교 생물학과. pp. 414
  36. 전상린. 1999. 반변천에서 채집된 끄리(잉어과)에 관하여. 한국환경과학회지, 17: 499-501
  37. 전상린. 1985. 주왕산계류의 담수어류상. 자연보존협회보고서, 23: 111-128
  38.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시. pp. 648
  39. 주영일, 전상린. 1977. 낙동강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제1보, 상주, 안동을 중심으로, 한국육수학회지, 10: 10-28
  40. 주일영, 김익수, 고재명. 1980. 낙동강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2. 지리산 일대의 계류를 중심으로. 한국육수학회지, 13: 25-31
  41. 주일영, 전상린. 1977. 낙동강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1.상주, 안동을 중심으로. 한국육수학회지, 10: 19-28
  42. 채병수. 1999. 자연생태탐사(금호강을 중심으로). 어류편. 영남자연생태보존회, 대구시, 47-83
  43. 채병수, 강영훈, 이용호. 1996. 낙동강생태보고서 - 낙동강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영남자연생태보존회, 대구시, 287-402
  44. 채병수, 남명모, 강영훈, 양홍준. 1999. 낙동강수계 밀양강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2: 58-68
  45. 채병수, 남명모, 양홍준. 1998a. 낙동강수계 영강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 67-76
  46. 채병수, 양홍준, 강영훈. 1998b. 낙동강수계 위천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 77-86
  47. 최기철. 1969. 춘천호의 어류동태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 31-38
  48. 최기철. 1972. 한강 하류의 어류 및 어업실태조사. 한국어족자원개발협회, 1-135
  49. 최기철. 1977. 금강에 건설 중인 대청Dam을 중심한 어류조사, 목록과 분포에 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10(1/2): 25-32
  50. 최기철. 1983. 경남의 자연, 담수어편. 경상남도 교육위원회, pp. 311
  51. 최기철. 1991. 경북의 자연. 어류편. 경상북도 교육위원회, pp.408
  52. 최기철, 전상린. 1978. 월악산, 주흘산 및 조령일대의 담수어에 관하여. 자연보존협회 보고서, 15: 25-31
  53.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서울. pp. 277
  54. 황금화, 전상린, 김미옥, 황종서. 1992. 금강하류역의 어류상에 관하여, 상명여자대학교 기초과학논문집, 6: 53-74
  55. An, K.G., Y.P. Hong, J.K. Kim and S.S. Choi. 1992. Studies on Zonation and community analysis of freshwaterfish in Kum-River. Korean J. Limnol., 25: 99-112
  56.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 Iowa, pp. 194
  57. Elvira B., G.G. Nicola and A. Almodovar. 1996. Pike and swamp crayfish: a new case on predator-prey relationship between aliens in central Spain. Fish. Bio., 48: 437-446
  58. Frank J. Rahel. 2000. Homogenization of Fish Faunas Across the United States. Science, 288: 854-856
  59. Gratwicke, B. and B.E. Marshall.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otic predators Micripterus salmoides and Serranochromis robustus and native stream fishes in Zimbabwe. Fish. Bio., 58: 68-75
  60. Kim, I.S. and H. Yang. 1999. A revision of the genus Microphysogobioin Korea with Discription of a new species (Cypriniformes, Cyprinidae). Korean J. Ichthtyol., 11: 1-11
  61.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600
  62.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131-144
  63. Sha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pp. 177
  64.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65. 可兒藤吉. 1944. 溪流昆蟲の 生態. 硏究社, 東京
  66. 內田惠太郞. 1939. 朝鮮漁類誌. 第1冊, 絲顎類, 內顎類. 朝鮮 總督府水産試驗場報告,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