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Studies on the Asan Reservoir. 1. Physicochemical chracteristics and Trophic Status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1.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상태

  • Jun, Sang-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Yoon-Ke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 전상호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 신윤근 (상지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o evaluate the eutrophication status of the Asan Reservoir in Korea,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for samples of 19 sampling stations collected in the period from March to November in 1997. Water temperature was in the range of $8.3{\sim}35.3{\circ}^C$, with thermocline appearing in summer. Dissolved oxygen also showed similar verticle variation to temperature. Secchi depth was very shallow with a range of 0.1~1m. Suspended solids ranged from 11.3 mg/1 to 2143.3 mg/1, and seemed to be affected by the amount of rainfall and the standing stocks of phytoplankton.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tributaries, and decreased with downflow. Nutrients were low in the summer and early autumn when algal blooms occur, and high in the early spring and winter. The Trophic State Index showed that the Asan Reservoir is in a hypertrophic condition.

본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1월가지 아산호 19개 정점에서 부영양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화학적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수온은 의 $8.3{\sim}35.3{\circ}^C$범위였고 여름철에 수온 약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왔으며 용존산소량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투명도는 0.1~1m의 범위로 매우 낮았으며 SS는 11.3~2143.3mg/l의 범위로 강우량과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 농도는 지천에서 높고 하류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계절적으로는 녹조현상이 일어난 여름과 초가을에 낮았고 초봄과 겨울에는 높았다. Carlson 의한 부양양화도 (Trophic State Index)를 가지고 판정한 아산호의 영양상태는 과영양 상태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윤근, 김영길. 2002.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5(3): 187-197
  2. 신재기, 조경제. 2000. 금강 하구호에서 수질의 계절변동과 오염도. 한국육수학회지 33(3): 251-259
  3. 신재기, 조경제, 오인혜. 1999. 대청호에서 수환경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 529-541
  4. 오광철, 오희목, 이진환, 맹주선. 1995. 대청호 식물플랑크톤의 일주기성 수직이동. 한국육수학회지 28(4): 437-446
  5. 이석구, 부성민. 1998. 아산 남방제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1(3) : 181-185
  6. 조경재, 신재기. 1995. 낙동강 중하류의 엽록소 a 분포와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28(4): 421-426
  7. 임창수, 신재기, 조경제. 2000. 금강 중∙하류에서 오염 양상과 수질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3(3): 251-259
  8. 한영희, 이진환, 장만. 1997.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I. 수질. 한국육수학회지 30(3): 181-192
  9. 홍은환, 조현영, 나규환. 1976. 아산호의 육수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9(1):55-59
  10. 환경부. 1995. 全國湖沼環境現況調査 및 主耍湖沼影響圈域設定(2次) 보고서 p.283-345
  11. APHA.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ition
  12. Cal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Oceanogr. 22: 361-369
  13. EPA, 1979. Quantitative techniques the assessment of lake quality. EPA 440/5-79-015
  14. Forsberg, C. and S. O.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iv fur Hydrobiologie. 89: 189-207
  15. Harper, D. 1992. Eutrophication of freshwater. Principles, problems and restoration. Chapman and Hall, London. pp. 329
  16. Havens, K.E. 2000. Using Trophic Index (TSI) values to draw inferences regarding phytoplankton limiting factors and seston composition from routine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Korean J. Limnol. 33(3): 187-196
  17. Kratzer, C.R. and P.L. Brezonik. 1981. A Carson-type trophic state index for nitrogen in Florida lakes. Water Resources Bulletin. 17: 713-715
  18. OECD. 1982. Eutrophication of Waters,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OECD, Paris
  19. Watanabe, T. 1962. On the Biotic Index of Water Pollution based upon the species Number of Bacillariophyceae in the Tokoro River in Hokkaido (in Japanese). Jap. Jour. Ecol., 12:216-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