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Volume 2 Issue 2
- /
- Pages.69-92
- /
- 2002
- /
- 1598-1487(pISSN)
- /
- 2671-7247(eISSN)
DOI QR Code
A Study of Today's Concept an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Provenance in Archives management
출처주의의 새로운 경향과 적용에 관한 연구
- 방효순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 cent trend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Provenance in today s new environment of Archives Management and to identify the effective way of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Provenance to Archives Management. Because of the continued change and the flexibility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network,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Principle of Provenance which put emphasis on a single creator and the physical entity of the archives has been gradually modified to a rather conceptual, abstract and realistic one. A method to apply the recent concept of the Principle of Provenance is to separate the descriptions of the record entity, the creators and the context and use the organic linkage of the separated description areas. Also we can control the provenance from the current stage or even from the pre-current stage by utilizing the classification scheme and the retention schedule. In case of the electronic records, we can manage the provenance and the context by using metadata inherent in the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 Above all it is critical that we need to structure and control the provenance by building the Korean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it is another an essential point that we have to develop a guideline for constructing the fond and maintaining its consistency.
본 연구는 출처주의 발전과정, 범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오늘날 기록관리환경에서 새롭게 변화된 출처주의의 경향을 검토, 기록물 관리에 있어 이것의 적용을 위해 고려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단일 출처, 물리적 기록물체를 강조하던 기존의 출처주의는 행정조직의 변화와 유동성, 네트워크 발달 등에 따라 점차 개념적 추상적 기능적 출처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새로운 출처주의의 적용을 위한 방안으로 먼저 기록물 자체에 대한 기술과 생산자 그리고 그 생산내력에 대한 기술을 분리, 각 영역을 링크시켜 통제하는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별 생산연원의 추적은 물론, 기록물에 대한 다양한 출처의 규명도 가능해진다. 또 분류와 스케줄을 통합, 생산단계, 혹은 그 이전 단계로부터 출처를 통제하기도 하며, 전자기록물의 경우 메타데이터의 구축을 통해 출처와 내력관계를 관리하기도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국가적 기술규칙의 마련을 통해 출처정보의 구조화와 통제를 할 수 있어야 하며, 출처 및 폰드 구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 그 일관성 유지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