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w Design Concept Paradigm for the 21st Korea Optical Industry

21세기 한국 안경 산업에 있어서 새로운 Design Concept의 전환

  • Park, S.O. (Department of Eyewear Design, Taekeyung College)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The 'hands-on' craftsmanship of the 20th century has came and gone. Today, we are dealing with whole new, 'cerebral approach,' to concept and design with this new approach, design and function are very much dependant upon planning, sales, promotion, and the formative technique of the design industry. The innovative process of design constantly change as it reflects the needs and wants of society. It is and industry that constantly change as it reflects the needs and wants of society. It is and industry that constantly remakes and reshapes itself to suit current trend and outlook. The current idea being that consumers are looking for quality over quantity. Due to the 20th centuries dominant philosophy of functionalism, production intended to standardize the individual's purchasing choice. Aesthetic, or philosophic qualities played a second fiddle to the functional bias of a product, With production, Marketing,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integrated into the management process. This translates as good which include efficiency, quality, durability, and credibility an trademark and style. There is a definite 'post-modernist' movement and style in 21st century. Every possibility is available as the old boundaries of the 20th century are laid aside. There is a new, transformative quality to the current paradigm of design. The old "should" and "should not" of design no longerapplies. The integrated rative of design solves the usual disparity between aesthetic qualities and production. Design and profirability need not be stranger to one another. It can differentiate the image perceived of both enterprises and consumers by making use of integrated goods services. With an integrated system. both producers and designers win. While design gets full access to design in turn. All consumers make decisions based upon the evaluation of quality, service, and image ; even though it may not be a conscious decision to do so. Consumers are fully integrated human beings ; therefore producers who apply the new, integrated paradigmatic approach to concept, design, and production will reap the harvest of making a true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buyer.

손으로 디자인하던 시대(20세기)는 지났고, 머리로 디자인하는 시대(21세기)에 이미 근접해 있다. 이것은 오늘날의 디자인은 잘 그리거나, 잘 만드는 조형 테크닉에서 벗어나 아이디어 창출은 물론 철저한 디자인 기획과 판매 촉진력을 중시하기 때문에 먼저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를 인식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디자인은 이 시대 모든 사람들에게 절실한 '혁신의 과정' 그 자체이기 때문이며, 동시에 언제나 시대와 함께 생생히 숨쉬며 거울처럼 세상을 비추어 내는 문화이기 때문이다. 또한, 디자인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인 실용적인 조형미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단순한 소비사회에서 이성적인 소비사회로의 디자인의 CONCEPT이 변하고 있다. 1차적 디자인의 개념의 디자인은 모양과 외형의 장식을 중심으로 한 시각적 차별화 단계의 작품으로서, 제품을 기술적으로 완성한 후 미적 요소를 첨가하는 것이다. 이는 생산자 중심의 디자인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20세기를 지배했던 기능주의의 역사적 판정에서 공업화 제품을 사용해서 모든 인간들을 표준화시키고, 심플한 상품을 공급하는 것이었다. 2차적 개념의 디자인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제품과 서비스의 차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디자인 생산, 마케팅 및 연구개발이 동시에 경영 과정에 참여하게되고, 제품의 특성, 성능, 규격 일치, 품질 내구성, 브랜드에 대한 신뢰성, 제품의 스타일 등이 디자인의 concept에 포함된다. 21세기의 디자인 의식은 모든 것이 가능하고, 어떤 것도 다시 똑같을 수 없고, 어떤 것도 다시 똑같기를 원치 않으며, 우리가 모든 것을 새롭게 만들기를 원하며, 과거의 모든 대상, 가치 정신구조, 일을 행하는 방식들을 제거해 버리길 원한다. 어쨌든 과거의 모든 것이 변형되기를 원한다는 신념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3차적 디자인의 개념의 디자인이란 기업 이미지 통합 차원의 디자인을 일컬으며, 이것은 각 기업 간의 기술의 격차가 줄어들면서 제품의 심미적 특성과 서비스가 구매의 관건이 되는 시기에 요구되는 디자인의 개념으로서,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업과 사용자 양쪽의 이미지를 차별화하는 단계라고 혈 수 있다. 이 단계에서의 디자인의 역할은 기업으로 하여금 훌륭한 제품을 탄생시킬 수 있는 기술, 마케팅, 디자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서비스나 유통, 이미지까지 총괄하여 디자인함으로서 기업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모든 분야로 디자인의 대상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미 현대의 소비자들은 스스로 의식을 하든 못하든 3차적 디자인의 개념에서 세상의 제품과 서비스와 이미지 등을 평가하여 구매를 결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다가올 21세기의 디자인과 디자이너는 단순히 어떠한 제품, 상품의 concept를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 감동을 주는 의미를 만들어 내야 한다. 이 세상에서 진정한 효용을 주는 그런 concept를 제시해야 하며 그 방법론이 Design이라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