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물푸레나무속(屬) 주요 수종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Korean Ash Species

  • 황원중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권구중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박완근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배영수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김남훈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Hwang, Won-Joong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won, Goo-Joong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Wan-Geun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Bae, Young-Soo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Nam-Hun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1.08.30
  • 심사 : 2001.11.03
  • 발행 : 2002.06.26

초록

물푸레나무속의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및 쇠물푸레의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법과 화상분석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공시 수종간에 연륜 경계의 명확성을 비롯한 도돤 요소의 직경, 축방향유조직의 배열상태, 구성세포의 비율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성요소의 방사방향 변이에 있어서, 목섬유 길이, 도관 요소 직경 및 길이는 수심 부위에서 작고 약 10~15 연륜까지 증가한 후 안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물푸레나무속 세 수종의 식별자료 및 성숙재와 미성숙재를 구분하는 재질 지표치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ulpurenamu (Korean ash, Praxmus rhynchopbylla), Deulmaenamu (Manshurican ash, Fraxinus mandsburica) and Sheamulpure (Sieboldiana ash, Fraxinus sieboldiana) grown in Korea were examined by an optical microscopy and an image analysis.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boundary of annual rings, shape and size of vessel elements, arrangement of axial parenchyma cells in cross section, and cell volumetric compo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 species. In radial variation of elements, fiber length and vessel size increased from the pith for about 10 to 15 years and then reached a more or less cons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identification of wood and indices of wood quality in Fraxinus sp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