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Its Causal Factors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선호도와 인과요인 분석

  • Im, Sung-Min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임성민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There are an increasing emphasis on affective domain, for example interest or belief, in science education. But decreasing interest on learning science and tendency to avoid science-related job are serious problems of secondary science education, especially in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preference for science is assumed to be a multidimensional property that reveals ones' behavioral volition and valuation as well as emotional response upon learning science. To investigat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its causal factors, a Likert styl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factor analysis.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was analyzed by 3 categories, and its causal factors are investigated by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과학교육에서 흥미나 신념과 같은 정의적 특성에 대한 강조는 점점 부각되고 있으나 실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는 감소하는 추세이며 특히 과학 관련 진로 기피 현상은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과학에 대한 기피가 더욱 심하고 국가사회나 과학교육계에서 관련 연구도 별로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 관련된 정의적 특성을 과학선호도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며 과학선호도의 인과요인을 분석하여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선호도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여기서 과학선호도는 다차원성을 가진 정의적 특성으로 과학과 과학학습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포함하여 과학 관련 행동 의지와 과학 관련 가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범주별로 리커트형의 설문을 개발하였다. 또, 과학선호도의 인과요인을 개인의 능력이나 성향, 가정환경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학교안 과학교육의 내용과 보상, 학교밖 과학관련 활동과 같은 교육적 요인, 과학기술에 대한 경제적 보상이나 사회문화적 분위기가 같은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역시 리커트형 설문 및 자유응답형 질문을 통해 측정하였다. 과학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는 선형회귀분석과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과학선호도 조사 결과 실업고 학생의 과학선호도는 대체로 낮은 편이다. 과학 내용에 대한 호기심과 과학에 대한 가치는 비교적 높으나 과학학습에 대해서, 특히 과제 실행이나 진로 선택 등 과학을 선호하여 행동으로 실천하려는 의지 면에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과학선호도 실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적 요인은 과학에 대한 감정반응과 행동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사회적 요인은 과학에 대한 감정반응과 가치확립에 직접 영향을 준다. 한편 교육적 요인은 과학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영향을 줌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과학선호도의 모든 범주에 고루 영향을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부(2002). 과학기술 중흥의 꿈은 이루어진다-청소년 이공계 진출 촉진 방안, 과학기술부
  2. 과학문화진흥회(2001). 전국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실험 교육의 실태와 혁신적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문화재단
  3. 권성기(1995). 중학생의 에너지 개념 변화에서 지적 흥미의 역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김계수(2001).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고려정보산업 : 서울
  5. 박승재, 김희백, 박종윤, 유준희, 윤진, 임성민, 전우수(2002). 초중등 학생의 과학 선호도 증진 정책 연구, 대통령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용역연구 최종보고서, 대통령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6. 박승재, 서혜애, 송진웅, 이규석, 이면우, 이양락, 이혜숙, 임성민, 현종오(2002). 청소년 과학교육내실화 종합방안, 과학기술부 과학교육발전위원회 총괄 중간보고서, 한국과학재단
  7. 윤혜경(1998). 확장적 과학탐구가 탐구 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이기종(2000). 구조방정식 모형, 교육과학사: 서울
  9. 임성민(2001).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파동 개념 이해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임성민, 박승재(2000). 중학생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의 다차원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11. 허명(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12. Gardner, P. L.(1996). The dimensionality of attitude scales: A widely misunderstood ide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8), 913-919 https://doi.org/10.1080/0950069960180804
  13. Gardner, P. L. & Tamir, P.(1989). Interest in biology, part I: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5), 409-423 https://doi.org/10.1002/tea.3660260506
  14. Lehrke, M., Hoffmann, L. & Gardner, P. L.(1985). Interests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2th IPN Symposium, Proceedings
  15. Munby, H.(1983). Thirty studies involving the scientific attitude inventory: What confidence can we have in this instru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2), 42-55
  16. Simpson, R. D., Koballa, Jr. T. R., Oliver, J. S. & Crawley III, F .E.(1994). Research on the affective dimension of science learning, In Gabel, D. L.(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Ch.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