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ng Students' and Teachers' Views on 'the Necessity of Learning Science' by the Network Analysis

계통도 분석법을 통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관점 조사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and teachers' views on the necessity of learning science in Korea. To grade sixth students(n=565) and teachers(n=57)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orea, a question, "Why do we have to learn science?", requiring a short essay of more than 7 lines including the reason and examples was given. From the analysis of short essays with the network analysis, it was found that most students and teachers had views of "we have to learn science to make personal everyday-life easy in aspect of personal usefulness and human everyday-life easy in aspect of social usefulness" with focusing on external value of science and taking examples of everyday-life related. A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and teachers' views were somewhat biased toward focusing on external values of science.

본 연구는 과학을 공부해야하는 필요성에 대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관점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65명과 초등학교 교사 57명을 대상으로, "과학을 왜 공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예와 이유를 함께 응답하도록 하였다. 계통도 분석법으로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주로 가전생활용품이나 건강 증진, 재난이나 위기 극복 등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예를 들어 응답하였고, 전체적으로 개인적 유용성 측면에서 일상생활의 용이성과 사회적 유용성 측면에서 일상생활의 편리성 증진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주를 이루었다. 즉 과학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초등학생과 초등교사는 "(과학의 외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관점에서 일상생활과 관련된 예를 들어가며) 개인적 차원에서 일상생활의 용이성을 증진시키고 사회적 차원에서 인류 생활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라는 관점을 주로 가지고 있었다. 또,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관점은 복합적이기보다는 단일적이었으며, 과학의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관점이 상대적으로 빈약하였다. 이러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관점은 과학의 사회적 의미와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바람직한 관점으로 여겨지나, 다소 편중되어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제7차 과학과 교육 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서울
  2. 강석진, 한수진, 김재현, 노태희(2001). 과학. 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교육대학 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537-546
  3. 권성기, 박승재(1995). 교육대학생의 과학의 본성 개념과 구성주의 학습관의 연관성 및 변화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04-115
  4. 김만희, 김범기(2002). 현대 과학교육의 동향과 시스템사고 패러다임의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64-75
  5. 박승재, 조희형(1998). 과학교육연구. 교육과학사: 서울
  6. 박윤배(2000). 중등과학교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과학관과 학습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44-249
  7. 박종윤, 김숙현, 나미오, 나가수(2000). 한국과 일본의 수도권 소재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기술-사회적 접근 적용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99-610
  8. 박현주, 최병순(2001). 고등학생의 과학학습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59-75
  9. 배성열, 박윤배(2000). 교사들이 인식하는 과학과 목표의 영역별 중요도와 장애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72-581
  10. 소원주, 김범기, 우종옥(1998a). 과학교사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이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109-121
  11. 소원주, 김범기, 우종옥(1998b).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221-231
  12. 송진웅, 박승재, 장경애(1992). 초중고 남녀 학생의 과학수업과 과학자에 대한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109-117
  13. 우종옥, 소원주(1995). 과학인식론의 일부 주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선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349-362
  14. 유호, 박윤배, 박덕규(1994). 중학생들의 과학 과목에 대한 흥미도와 관련된 변인들. 물리교육, 12(1), 21-29
  15. 윤선진(1996). 과학교육체제의 맥락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 윤선진, 우종옥, 김범기(1995). 과학 교육의 의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59-471
  17. 이운환, 김중욱, 손석락, 송남희, 송명섭, 임청환, 최재환(1995). 국민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조사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1), 17-34
  18. 이재천, 권태형, 김범기(1997). 초등교사들의 자연과 교수지도에 대한 과학 불안도 및 태도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2), 257-275
  19. 이춘우, 박경철(1990). 중학생의 과학과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 22, 31-68
  20. 임승출(1994). 과학의 본성과 과학 교육에 대한 국민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장병기(1995). 과학 수업 및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1), 1-15
  22. 전상운, 영원순, 정수경(1972). 우리나라 청소년의 과학관과 그 의식에 관한 조사. 성신인문과학연구소 조사보고서
  23. 조정일, 주동기(1996).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관한 관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00-209
  24. 조희형(1998). 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그 시사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83-200
  25. 조희형, 박승재(1993). 과학 교직관과 과학 교사상에 대한 문헌 연구 및 실태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77-388
  26. 조희형, 박승재 (2001). 과학론과 과학교육 제2판. 교육과학사: 서울
  27. 최경희(1994). 과학교육과 STS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2), 192-198
  28. 최경희(1995).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기술-사회(STS)에 관련된 문제와 STS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73-79
  29. 한지숙, 정영란(1997).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19-125
  30. 허명(1993). 초. 중. 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31. Abruscato, J.(2000). Teaching Children Science.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32. Bliss, J., Monk, M. & Ogborn, J.(1983). Qualitative Data Analysis for Educational Research: A guide to uses systematic networks. Croom Helm Ltd.: London
  33. Boujoude, S.(2002). Balence of science literacy themes in science curricula: the case of Leban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2), 139-156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66494
  34. Bybee, R. W. & DeBoer, G. E.(1994). Research on goals for the science curriculum. In Gabel. D. L.(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357-387.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35. DeBoer, G. E.(1991).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Implication for Practices. Teachers College Press: New York
  36. Gosling, D. & Musschenga, B.(1981). Science Education and Ethical Values- Introducing Ethics and Religion into the Science Classroom and Laboratory. Georgetown University Press: Washington, D. C.
  37. Harlen, W.(2000). Teaching, Learning and Assessing science 5-12. Paul Chapman Publishing Ltd.: London
  38. Lederman, N. G.(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4
  39. Longbottom, J. E. & Butler, P. H.(1999). Why teach science? Setting rational goals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3(4), 473-49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7)83:4<473::AID-SCE5>3.0.CO;2-Z
  40. Martin, R., Sexton, C., Wanger, K., & Gerlovich, J.(1997).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 2nd ed. Allyn and Bacon: Boston
  41. Simpson, L. D. & Anderson, N. D.(1981). Science, Students, and Schools. Macmillan Publishing, Inc.: New York
  42. Yager. R. E., Blunck, S. M. & Dass, P. M.(1995). Science as a way of knowing. Thrust for Educational Leadership, Oct., 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