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만의 Tributyltin 거동 및 물질수지 산정

Estimation of Transport and Mass balance of Tributyltin in Masan Bay

  • 김동명 (일본국립환경연구소 화학물질 환경리스크 연구센타)
  • 발행 : 2002.11.01

초록

마산만에 대하여 stella 프로그램을 이용한 Tributyltin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민감도 분석 및 물질수지를 산정하여 수질관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수층과 유기 입자내 Tributyltin의 경우는 침강속도와 분배계수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물플랑크톤 체내의 Tributyltin의 경우는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농축계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의 Tributyltin에 대한 모델 적용 시에는 이들 계수에 대한 정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상해역의 Tributyltin 현존량은 수층의 Tributyltin량이 3.29×10⁴g, 플랑크톤 체내의 Tributyltin량이 1.16×10²g, 입자상 유기물내의 Tributyltin량이 3.17×10³g로 나타났다 상간의 전환경로는 입자상 유기물로 분배되는 경로가 1.64×10³g/day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저질로의 침전으로 1.52×10³/g/4ay이었으며 외해로의 유출이 1.32×10³g/4ay로 나타났다.

It was peformed to estimate the sensitivity analyses and mass balance for tributyltin in Masan Bay, using the model builded by stella program. The results of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dissolved tributyltin and tributyltin in the particulate organic carbon showed that not only organic carbon partition coefficient but also settling rate is important. In the case of tributyltin in phytoplankton, bioconcentration factor of phytoplankton is most important. The results of the mass balance showed that standing stocks of tributyltin in water, in phytoplankton and in particulate organic carbon are 3.29×10⁴g, 1.16×10²g and 3.17×10³g, respectively. In the case of flux, partition to particulate organic carbon showed most high value, 1.64×10³g/4ay, and next were deposition to sediment, 1.64×10³g/day and transportation to open sea by tide, 1.64×10³g/da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