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and non-genetic factors affecting kid survivability in goats from birth to 90 days of age. The purebreds had lower survivability than the crossbreds, with significant (p$<$0.05) difference amongst themselves for the age of 31 to 90 days. The locational effect on survivability was insignificant for all the periods except 16 to 60 days (p$<$0.05) of age. The sex and birth type also had significant (p$<$0.05) effect on survivability for all the periods except 0 to 7 days of age. The survivabi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 kids born in summer season followed by those born in winter and rainy season. Milk produced by the does were significantly (p$<$0.05) affected on the survivability of kids during the period from 16 to 60 days of age. The survivability of kids were highest and lowest having milk yield of doe found to be 400-600 g/day and 80-200 g/day, respectively. Birth weight had significant (p$<$0.05) effect on survivability for all the stages of growth up to 90 days of age. Surviv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oes’ milk yield as well as kids birth weight. Interactions of sex with location or birth type were significant (p$<$0.01 and p$<$0.05, respectively) though interaction between sex and genetic group was insignificant.
이 연구는 벵갈 종과 그 교잡종 산양의 번식에 있어서 생시부터 90일령 까지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및 비 유전적인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에 이용된 모델은 지역, 교배조합, 자양의 성, 출생시 산자형태(1두, 2두, 3두 및 4두), 출생계절(여름 3월-6월; 우기 7월-10월; 및 겨울 11-2월), 출생연도와 2요인 상호작용의 효과를 포함하였다. 교잡종에 비하여 순종의 생존율은 31일령 과 90일령 사이에 현저히 낮은 것으로 유의성(p$<$0.05)을 나타냈다. 생존율에 대한 지역의 효과는 16-60일령 기간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존율에 대한 성의 효과는 초기 0-7일령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생존율은 여름에 출생한 것이 가장 높았고 겨울과 우기(rainy season)의 순서로 나타났다. 16일령 부터 60일령 사이의 자양의 생존율은 어미의 비유량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p$<$0.05) 나타났고, 400-600g/day 의 비유량인 경우에 생존율이 가장 높았던 반면 비유량이 80-200 g/day인 어미의 자양이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생시체중은 90일령 까지의 모든 성장단계에서 자양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다. 생존율은 모양의 비유량과 그리고 자양의 생시체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과 생산지역간 (p$<$0.01) 또는 성과 출생시 산자형태간(p$<$0.05)의 상호작용은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던 반면에 성과 유전적 그룹간의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