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공언, 강병욱, 1995: 江華地城 降水의 汚染度 評價에 關한 硏究. 韓國大氣保全學會誌, 11(1),57-68.
- 김종갑, 1992: 온산공단주변의 대기오염이 산림색생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59.
- 김종갑, 田中淳一, 1998: 대기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의 강우의 이온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1(3), 195-201.
- 민경덕, 1971: 경부 고속도로상의 안개구역에서의 안개 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12(1), 13-24.
- 민일식, 이수욱, 1990: 인공산성우가 산림토양의 완충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79(4), 376-387.
- 박국태, 문영언, 헌정구, 홍현복, 1995: 경기도 성남시, 인천시, 강원도 강릉시, 충북 청원군 강수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비교 연구. 韓國環境科學會誌, 4(3), 285-294.
- 박국태, 김창호, 홍현복, 류오현, 양일호, 임광수, 민덕식, 1998: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경기도 농촌지역 강수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7(2), 157-164.
- 朴榮大, 李敦求, 金東燁, 1999: 京畿道 廣州 地方 잣나무林, 落葉松林, 濶葉樹林에서 樹冠通過雨, 樹幹流, 土壤水內 養料動態. 韓國林學會誌, 88(4), 541-554.
- 박용남, 송기형, 1993: 충북 청원군의 강수중의 이온들간의 상관관계. 한국환경과학회지, 2(4), 337-346.
- 朴在鉉, 禹保命 1997: 山林流域內 降水로부터 溪流水質에 미치는 影響因子 分所-pH, 溶存酸素, 電氣傳導度-. 韓國林學會誌, 86(4), 489-501.
- 朴在鉉, 禹保命 1998: 山林流域內 降水, 樹冠通過雨, 土壤水 및 壤流水 水質의 化學的 特性. 韓國林學會誌, 87(1), 62-73.
- 산성우조사법연구회, 1996: 산성비 조tk법. 도서출판 동화기술, pp.511.
- 이창근, 1988: 대기오염과 산성우가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과학기술처 연구보고서, pp.194.
- 이기호, 허철구, 1996: 제주시 강우의 화학적 조성 특성에 관하여. 한국환경과학회지, 5(6), 739-748.
- 이수욱, 장관순, 1994: 산성우에 대한 산림생태계의 민감도 및 자정기능(I)-강의의 산성화도와 식생활력도(TVI)를 중심으로-. 한국임화학회지, 83(4), 460-472.
- 이총규, 김종갑, 1998: 산림내 강우에 의한 산성강하물의 영향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21(5-1), 449-456.
- 李憲浩, 1997: 山地 물循環 素過程에 있어서 水質變化의 追跡分所에 의한 山林의 環境的 淨化基機能의 計量化 硏究. 韓國林學會識, 86(1), 56-68.
- 장관순, 이수욱, 1995: 산성우에 대한 산림생태계의 민감도 및 자정기능(II)-식생층과 토양층 용탈이온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4(1), 103-113.
- 정용문, 1987: 인공산성우가 소나무 유묘 및 개나리 삽목묘의 생장, 식물체 내 함유성 성분 및 토양의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70.
- 조하만, 최재천, 김지영, 전영신, 김 산, 1998: 1994-1997년 중부지방에 내린 당수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대기보전학회지, 14(6), 589-598.
- 朱榮特, 陳鉉五, 孫堯丸, 吳鍾敏, 鄭德永, 1999: 降雨와 植生의 相互作用이 樹冠通過雨 및 樹幹流의 化學的 性質變化에 미치는 影響. 韓國林學會誌, 88(2), 149-156.
- 한국도로공사, 1999. www.freeway.co.kr/frame7.html/고객지원실.
- Binns, W. O. and D. B. Redfernn, 1983: Acid rain and forest decline in West Germany. Forestry Commission Research Development Paper, 131:13.
- Bubenick, D. V., 1984: Acid Rain Information Book.
- Brewer, P. G., 1975: Minor elements in sea water. In Chemical Oceanography. Academic Press, New York 1:417.
- Cole, D. W. and D. W. Johnson, 1977: Atmospheric sulfate additions and cation leaching in a Douglas-fir ecosystem. Water Resource Research, 13(2), 313-319.
- Dikaiakos J. G., 1990: Rainwater composition in Athens, Greece. Atmospheric Environment, 27(13), 1993-2008.
- Evans, L. S., 1984: Botanical aspects of acidic precipitation. Bot. Rev., 50, 449-490.
- Fowler, D., 1978: Wet and dry deposition of sulfur and nitrogen compounds from the atmosphere, effects of acid precipitation on terrestrial ecosystems, 9-25.
- Finlayson-Pitts, B. J. and J. N. Pitts, 1986: Atmospheric Chemistry: Fundamentals and Experimental Techniques. John Wiley, New York, U.S.A., p.1098.
- Galloway, J. N. and G. E. Liken, 1981: Acid preciptation: the importance of nitric acid. Atmosphere Environ., 15(6), 1081-1085.
- Georgii, H. W., 1986: Atmospheric pollutants in forest areas. Reidel Publishing Co., Dordrecht. Holland, pp.287.
- Kim, G. T., 1986: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kgo biloba L. seedlings and on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ed soil. Seoul Nat'l Univ. Ph. D. Dissertation, pp.46.
- Khemani, L. T., G. A. Momin, S. N. Medha, R. Prakasa, P. D. Safai and A. S. R. Murty, 1987: Influence of alkaline particulates on pH of cloud rain water in India. Atmos. Environ., 21(5), 1137-1145.
- Lovett, G. M., S. E. Lindberg, D. D. Ritcher and D. W. Johnson, 1985: The effects of acidic deposition on cation leaching from three deciduous forest canopies. Can. J. For. Res., 15, 1055-1060.
- Manion, P. D. and D. Lachance, 1992: Forest decline concepts. APS press. St. Paul. MN., pp.249.
- Parker, G. G., 1990: Evaluation of dry deposition pollutant damage, and forest health with throughfall studies. In mechanism of forest responses to acidic deposition. Luiser, A. A. and S. G. Haines(eds.). Springer-Verlag. New York. 10-61.
- Seinfeld, J. H., 1986: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of Air Pollution. John Wiley, New York, U.S.A., 696-738.
- Skeffington, R. A., 1981: Soil properties under three species of tree in southern England in relation to acid deposition in throughfall. -B. Ulrich and J. Pankrath (eds.). Effects of accumulation of air pollution in forest ecosystem, 219-231.
- Vermeulen, A. J., 1979: The acidic precipitation phenomenon, polluted rain. 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