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폐광지의 환경 친화적인 식생 복원에 이용할 향토 수종 및 내성 수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탄광 폐석지에 나타난 자연 이입종과 주변 산림 식생과의 연관성을 밝히는데 있다. 강원도 태백에 위치한 폐광지 주변 산림의 식생을 조사한 결과, 소도동의 교목층에서는 9종류, 아교목층에서는 13종류, 관목 층에서는 23종류 그리고 초본층에서는 23종류가 출현 하였다. 싸리재의 경우, 교목층에서는 6종류, 아교목층에서는 15종류, 관목층에서는 31종류 그리고 초본층에서는 25종류가 출현하였다. 1차 천이적인 단계에 있는 폐석지에서 출현한 종을 조사한 결과, 소도동에서는 31종류가 자연 이입종으로 나타났으며, 싸리재에서는 30종류가 출현하였다. 폐석지에서 출현한 종은 대조구인 소도동의 45종, 싸리재의 54종보다 훨씬 적었다. 탄광 폐석지와 주변 산림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수종은 소도동의 경우 박달나무 등 6종, 싸리재의 경우 거제수나무 등 4종이었다. 즉 탄광 폐석지는 주변 산림의 상층림을 형성하고 있는 수종에서 종자가 이입되어 생존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싸리재의 거제수나무는 주변 산림과 폐석지 경계부터 군집을 형성하고 있어 식생의 주변 효과를 나타냈으며, 소도동에서는 박달나무 등의 종자가 이입되어 자연적인 식생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교란된 지역에서의 식생 복원은 주변 산림 구 성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ly introduced vegetation on the abandoned coal mine lands and the surrounding forest, and to select the indigenous tree species for the revegetation of the real mine lands in Taeback, Kangwon Province, Korea. The apparent species in the surrounding forest of Sododong were 9 species of tree layer, 13 species of subtree layer, 23 species of shrub layer and 23 species of herb layer,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in Sarijae were 6 species of tree layer, 15 species of subtree layer, 31 species of shrub layer and 25 species of herb layer, respectively. The plant species in the abandoned real mine land were 31 species in Sododong and 30 species in Sarijae, respectively. The number of plant species in the abandoned coal mine land was smaller than the surrounding forest. The common species of the coal mine lands and the surrounding forest were 6 species(Betula schimidtii etc.) in Sododong and 4 species(B. costata etc.) in Sarijae. It was considered that the species in the coal mine lands introduced from the species of top layer in the surrounding forest. Especially, B. costata in Sarijae showed the edge effect which regenerates the vegetative community from the boundary area of coal mine land and surrounding forest. Natural revegetation in Sododong was also progressing by the invasion of tree species in surrounding forest, such as B. schmidtii. Consequently, natural revegetation in the disturbed coal mine lands may be related to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urrounding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