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지기후가 잣나무 차대검정림의 년도별 구과 결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cal Climatic Conditions on the Yearly Cone Production in Progeny Test Stands of Korean White Pine

  • 발행 : 2002.09.01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가평과 관주 그리고 충청북도 영동에 조성된 잣나무 차대검정림을 대상으로 20년생까지의 연도별 구과 결실량에 미치는 미기후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역별ㆍ연도별 구과 결실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지형기후학적 방법과 공간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차대검정림의 연도별 미기후 조건을 추정하여 구과 결실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착과수 및 착과 본수를 조사한 결과 가평 지역은 9년생부터, 광주 지역은 10년 생부터 그리고 영동 지역은 이보다 훨씬 늦은 14년생부터 착과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지역별 편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별 총 착과수와 가계별 착과수에서도 큰 변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과 결실량과 지역별 미기후간의 상관분석 결과를 보면 가평 지역의 경우 개화수분 당년의 11월부터 익년 3월까지 5개월 간의 흐린 날수 합계가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광주 지역의 경우 개화수분 당년 6월부터 결실년도 8월까지 15개월 동안의 일조시수 합계가 유의성이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한편, 영동 지역의 경우는 개화수분 당년의 11월부터 익년 3월까지의 평균기온 평균치와 개화수분 당년의 5월 평균기온 등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있었다. 한편 구과 결실량을 기후지수에 의해 추정하기 위한 최적 회귀식은 지역별로 다양한 기후변수가 채택되었으나 비교적 설명력이 높아 여러 가지 환경 요인 중에서 미기후 조건이 구과 결실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잣나무 우량 종자생산에 적합한 입지선정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effects of local climatic conditions on the yearly cone production in progeny test stand of Korean white pine. For this, yearly cone production by locality of progeny test stands was first measu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climatic conditions on the cone production was analyzed by the estimation of yearly local climates based on both a topoclimatological method and a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From yearly climatic estimates, 19 climatic indices affecting cone production were computed for each of the progeny test stand. The yearly cone productions were then correlated with and regressed to the climatic indices to examine effects of local climatic conditions on the reproductive growth.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me typical climatic indices by local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one production. Also, the optimal regression equations which can estimate cone production by local climatic conditions were provided for applying to each of the progeny test stand of Korean white pine.

키워드

참고문헌

  1. 과학기술처, 1992: 전국 그물망 기후값 추정 및 기후도 작성 연구(3). 중앙기상대 기상연구소 주관 특정연구과제 pp. 379.
  2. 김일현, 2001: 잣나무 성숙 임분의 생식생장과 영양생장에 미치는 국지기후의 영향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4.
  3. 수자원공사, 1992: 기상환경 변화 조사(1차) pp. 244.
  4. 수자원공사, 1993: 임하 및 주암 다목적댐 건설에 따른 기상환경 변화 조사(2차) pp. 306.
  5. 수자원공사, 1994: 임하 및 주암 다목적댐 건설에 따른 기상환경 변화조사(3차) pp. 264.
  6. 신만용, 윤진일, 1992: 지형_기후 관계식에 의한 제주도의 월별 기온분포의 추정. 한국임학회지, 81(1), 40-52.
  7. 신만용, 윤진일, 서애숙, 1999: 공간통계 기법을 이용한 전국 일최고/최저기온 공간변이의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5(1), 9-20.
  8. 이재선, 송정호, 박문한, 한상억, 1999: 잣나무의 수형 조절(III)-III 영급 이하에서 잣솨 목재 생산을 위한 수형. 한국임학회지, 88(2), 195-204.
  9. 한상섭, 박완근, 1988: 잣나무와 소나무의 직경생장과 Key-Year. 한국임학회지, 77(2), 216-221.
  10. 高木通勇, 1950: トドマッ結實の豊凶と氣象との關係につぃて. 日本林學會誌, 32, 393-396.
  11. Carmean, W.H., 1954: Site quality for Douglas-fir in southwestern Washington and its relation to precipitation, elevation, and physical soil propertie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18, 330-334.
  12. Grace, J. and D.A. Norton, 1990: Climate and growth of Pinus sylvestris at its upper altitudinal limit in Scotland : Evidence from tree growth rings. Journal of Ecology, 78, 601-610.
  13. Jackson, D.S., 1962: Parameters of site for certain growth components of slash pine. Duke Univ. School of Forestry, Bulletine 16, pp. 118.
  14. Nakai, K., 1987: Japanese system of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to user communities includ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eprint from the WMO symposium on education and training in meteorology with emphasis on the optimal use of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d products by all potential users. Shinfield Park. U.K., 13-18 July 1987.
  15. Okamura, T., 1987: Mesh climatic data-present and prospect of production and application. Tenki, 34(3), 25-42.
  16. Seino, H., 1993: An estimation of distribution of meteorological elements using GIS and AMeDAS data. J. of Japanese Agricultural Meteorology., 48(4), 379-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