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Tourist Souvenirs development -focusing on the foreign tourist call on jeonju-

관광기념품 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전주를 방문한 동남아 지역 외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The studies of souvenirs in korea are mostly limited to the development of souvenirs as tourism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First, to develop the model of souvenir purchasing behavior and to segment a market. Second, To emphasize the value of a souvenir as cultural goods centered around it? authenticity. Third, To establish an integrated concept through reviewing various definitions of souvenir.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order to become familiar with salient issues in the authenticity and of souvenir? and question are method was used and the collected data ware analyzebby means of SPSS/PC+.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urism style, the congnition of a souvenir? authenticity and souvenir purchasing behavior are different according to Tourists(equation omitted) nationality. Second, souvenir purchasing behavior is affected by the tourism style, tourist(equation omitted) of a souvenir? authenticity and these three factors are interrelated.

한 나라의 관광기념품은 그 나라의 문화와 정신세계를 상징하는 매개체로서 나아가 그 사회 문화의 가치체계를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관광기념품은 관광지의 문화요소의 총체이며 한 나라의 문화${\cdot}$역사${\cdot}$예술의 구체적 소산으로서 고도의 상징성과 고유성을 지니는 문화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관광기념품의 고유성은 이러한 기념품의 역할을 통해 조명될 수 있으며 고유한 관광기념품이란 특정 관광지이외에는 구하기 어려운 관광지의 문화적${\cdot}$역사적 요소를 함축하고 상징하는 고도의 문화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기념품의 고유성과 구매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국관광객의 기념품 구매행동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리적 세분시장별 관광기념품 구매유형을 분석, 각 세분시장에 적절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수립의 기초로 삼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