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magery Term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 Focused on Papers of Fashion and Architectural Design in the 1990s-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표현한 이미지어에 대한 고찰 -1990년대 복식과 건축디자인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 전공) ;
  • 김지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류환경학과) ;
  • 김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류환경학과) ;
  • 김혜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류환경학과) ;
  • 박연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류환경학과)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oncrete imagery terms that characterize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to express Korean feelings and images through those words. We classified the selected imagery terms into the elements of design, the principles of design, abstraction, expression and function. As a result, new aspects of the Korean Image are as follows. 1, It recognized that the colors representing the Korean image are not only achromatic but also splendid. 2. Noble images with common images have taken up a large part of Korean traditional image. 3. Pleasant images as well as sad images should be presented as a new perspective to express Korean cultural identity. 4. Indirect image rather than direct image appears frequently, while positive/active image appears frequently. Since this image accounts for a large portion of Korean present image it cannot be overlooked as Korean traditional Image. 5.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s expressed as functional and rational. Up until now, representative imagery terms about Korean cultural identity appear to be positive and active and we know that Korean feelings and images are implying more variety to the image generally recognized at this time. Therefore, if today's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y, and values are compared and the continuity and changes of designs are appropriately combined above Korean cultural identity with these results, this will provide an essential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global Korean designs.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표현하는 대표적 이미지어들을 도출함으로써 디자인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의 정서와 이미지를 구체적인 어휘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1990년대에 발표된 복식과 건축 디자인 논문 중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한 논문을 중심으로, 디자인 요소, 디자인 원리, 추상성, 표현성 그리고 기능성의 요인과 관련된 이미지어를 유형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복식과 건축디자인 분야를 대상으로 한국의 이미지에 대한 공통성과 차별성을 규명한 결과, 이제까지 보편적으로 인식되어오던 한국의 이미지와 함께 새로운 측면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이제까지 한국의 문화 정체성을 나타낸다고 인식되어온 무채색, 소박함, 한과 비애, 간접적 표현 등을 나타내는 이미지 외에도 화려한 색채, 고귀함, 즐거움 등과 같은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표현도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건축디자인에서는 복식디자인보다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이미지가 도출되었다.

Keywords